기독 대학의 디자인사고 기반 메이커교육을 통한 기독교 세계관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Program through Maker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at Christian University
- 이용수 113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 기반 메이커교육에 기독교 세계관 교육원리를 접목하여 운영된 대학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탐색함으로 기독교 세계관 교육의 방법으로 디자인사고기반 메이커교육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K대학에서는 본 프로그램을 위해 10차시 분량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기독교 세계관의 교육원리와 디자인사고 기반 메이커교육을 접목하여 설계하였고, 5개팀 15명의 학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운영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운영 절차는 팅커링 활동 및 동기 고취 특강에서부터 문제 발견하기, 공감하기, 제작하기, 공유 및 성찰하기의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각 단계를 거치면서 자신 주변의 발견한 문제를 이웃과 창조세계가 더 나아질 수 있도록 해결해 나가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결론 및 제언 : 이 프로그램의 운영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기독교 세계관적 입장에서 이웃과 사회에 지속적 관심,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되었음을 성찰하였다. 후속 연구 및 프로젝트에 대한 제언으로 기독교 세계관 함양을 위한 디자인사고 기반 메이커교육 모형을 개발하고, 제시하여 실제 프로그램과 관련된 전문적 지식이 부족해도 수월하게 설계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퍼실러테이터의 역할 및 활동 가이드 등을 개발하고,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관련 루브릭이나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프로그램을 환류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This is a case study of an extra-curricular program that designed and implemented maker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to foster a Christian worldview. The program was designed at K university in the course of 10 sessions as following stages; tinkering, providing a special lecture for motivation, finding issues, empathizing, making, sharing and reflecting. A total of 15 students in 5 team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progressed through each stage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they found around them so that their neighbors and the creative world could become better. As a result of operating this program, the participants became concerned about their neighbors and community and reflected on the change of perspective of the world from a Christian worldview. As a suggestion for follow-up research and projects, to develop a model of maker educa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for cultivating a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s proposed in order to support to easy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program even if there is a lack of professional related knowledge and experience. In addition, it is needed to develop a manual and guide book including a facilitator’s role and an assessment tool like a rubric that can give feedback on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and make improve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Education for Christian Worldview at Universities
Ⅲ. Maker Education Based Design Thinking and Christian worldview education
Ⅳ. Results
V. Conclusion
References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추천 논문
-
전세현(Chon SaeHyun), 이서희(Lee SeoHee), 배은지(Bae EunJi), 김진실(Kim JinShil)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Nursing & Health Issues 제26권 제1호 2021.02
-
변영신(Pyun Young-Shi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9권 제4호 2005.12
-
박경아(Gyeong A Park), 오명화(Myung Hwa Oh)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복지 재활복지 제20권 제1호 2016.03
-
박명선, 홍성택, 양광희 한국초등체육학회 한국초등체육학회지 제21권 제2호 2015.07
-
정재훈(Jae Hoon Jeong), 최윤선(Youn Seon Choi), 김선미(Seon Mee Kim), 최선영(Sun Young Choi), 김정은(Jung Eun Kim), 김이연(E Yeon Kim), 김은영(Eun Young Kim), 이희열(Hee Yuel Lee), 정지훈(Ji Hoon Jung), 진로사(Rosa Jin) 대한임상노인학회 대한임상노인학회지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15권 제1호 20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