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학대 발생수준과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 Maltreatment Occurrence Leve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Built Environment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76권
- : KCI등재
- 2023.03
- 43 - 64 (22 pages)
본 연구는 지역사회 아동학대 발생수준과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을 지역사회 수준의 거주환경과 근린환경으로 나누었으며 거주환경으로 지역사회 빈집의 비율, 아파트의 비율, 면적미달주거의 비율을, 근린환경으로 1인당 녹지면적, 10만명당 문화기반시설수, 대중교통 접근성을 살펴보았다. 2015, 2016, 2017년 ‘전국아동학대 현황보고서’ 에 보고된 기초 지자체별 아동학대의심사례수와 응급아동학대의심사례수, 통계청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다층음이항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아파트 비율이 높거나 10만명당 문화기반시설이 적거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지자체에서 아동학대의심사례수가 더 많았다. 둘째, 기초 지자체의 모든 조건이 동일할 때, 면적미달주거의 비율이 높거나 1인당 녹지면적이 많거나 10만명당 문화기반시설수가 적거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을수록 응급한 상황이 의심되어 아동의 안전을 위해 12시간 이내에 현장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응급아동학대의심사례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학문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으며 추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 maltreatment occurrence leve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built environment, which is composed of housing and neighborhood environments; the housing environment was measured through rates of abandoned housing, rates of apartments, and rates of housing lacking adequate space, and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was composed of the green area per person, the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 and the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The analyses were implemented on both total child maltreatment cases and emergent cases. Main findings based on multilevel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are as follows. First, when all others are equal, the communities with higher rates of apartments or less cultural infrastructure of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number of total child maltreatment cases. Second, when all others are equal, the communities with higher rates of housing lacking adequate space or more green area, or less cultural infrastructure or access to public transportation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number of emergent child maltreatment cases. Based on finding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