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열린교육연구 제31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 개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Competency-based Syllabus Design for College Students

DOI : 10.18230/tjye.2023.31.2.1
  • 101

본 연구는 최근 강조되고 있는 역량기반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학생중심의 역량기반 수업계획서를 개발한 사례 연구이다. 문헌연구, 전문가자문, 기존 수업계획서에 대한 분석,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기존 수업계획서와 구분되는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를 개발하고, 개발된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생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파일럿 테스트 참여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155명과 최종 수업계획서에 대한 만족도 설문에 참여한 학생 246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는 핵심역량, 전공역량, 교과개요, 학습성과, 수업운영방식(운영방식/세부진행방식), 평가방법(평가항목/세부기준), 수업규정, 주차별 수업계획(학습성과, 학습내용, 수업진행방식, 학생들의 학습활동(수업전, 중, 후), 수업자료 등이다. 둘째, 파일럿 테스트에 참여한 학생들은 새롭게 개발된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의 적합성에 대해 4.25이상의 높은 점수를 주었다. 특히 주차별 수업진행방식과 학생활동 구성요소의 점수가 높았다. 또한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는 의견 역시 많았다. 셋째, 파일럿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시스템으로 구현된 최종 수업계획서에는 핵심역량 및 전공역량과 교과목과의 연계성 요소가 추가되었으며, 학습성과요소에 교과목표를 부제로 보완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수업계획서에 대해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학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역량기반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대학의 상황과 역량기반교육에 적합한 수업계획서를 개발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개발된 학생중심 역량기반 수업계획서가 실질적으로 학습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교수들을 대상으로 수업계획서를 구체적으로 작성하도록 지원하고 실제 수업에서 학생과 함께 수업계획서를 많이 활용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competency-based syllabus design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professional advice, analysis of an existing syllabus, and pilot study results, a competency-based syllabus for college students was designed.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is syllabus was analyzed. For this study, 8 professors and 155 students in the pilot study and 264 students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syllabus design.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First, the competency-based syllabus components were core competency, major competency, subject outline, learning outcomes, classroom operation methods, assessment methods, class rule, weekly lessons plans (learning outcomes, learning content, classroom operation methods, student learning activities-pre class, during class, after class), and learning materials. Second, students showed very positive perceptions of the suitability of syllabus components, especially of the class operation methods an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in weekly lesson plans. Additionally,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pecificity of the syllabus were also favorable. Thir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final competency-based syllabus for students and anticipated it would be helpful for their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ompetency-based syllabus design for students should be central to a university’s mission to provide competency-based education. Furthermore, the university should regularly and consistently conduct workshops or training for professors to write syllabuses with more specifics and to use them actively during their class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