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영미어문학 제148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생태주의 비평의 관점에서 본 꽃 이데올로기의 의미와 한계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Floral Ideologies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Criticism: Focused on Virginia Woolf and John Ruskin

DOI : 10.21297/ballak.2023.148.23
  • 71

빅토리아 시대의 꽃 이데올로기는 꽃 자체에 일종의 언어적 특성이 있다는 전제하에 꽃의 상징화를 통해 사람들(특히 여성의)의 행동과 생활방식을 문화적으로 제한한다. 본 논문에서 꽃 이데올로기는 빅토리아 시대의 위대한 사상가 존 러스킨과 20세기 모더니즘 페미니스트 버지니아 울프의 글을 읽고 생태비평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중요한 접점'으로 활용된다. 첫째, 꽃과 여성의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러스킨의 초기 생태학적 특성과 울프의 글에서 원형 생태 페미니즘을 각각 탐색하고, 각각의 원형이 갖는 중요성을 재고할 것이다. 둘째, 러스킨뿐만 아니라 문화적 생태여성주의자들도 본질주의자라는 비판을 받아왔다는 사실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울프의 수필 “러스킨”과 “후원자와 크로커스”, 러스킨의 『프로서피나』와 『여왕의 정원』을 교차 비교하면서 읽을 것이다. 셋째, 돌봄은 여성 특유의 자질이자 권리라는 러스킨의 여성에 대한 이해와 문화적 에코페미니스트 주장, 즉 돌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우월하다는 주장을 비교하고, 최소한 돌봄 윤리 측면에서 관련된 부분을 찾아서 그 가치를 평가할 것이다. 러스킨은 여성의 장식적이고 가족적인 기능을 강조하고 순수하고 신성한 여성을 이상화하지만, 울프는 자신의 말인 “집안의 천사 죽이기”에서 이를 격렬하게 거부한다. 울프는 이분법을 해체하고 여성과 자연을 재위치시키기 위해서 러스킨의 빅토리아 꽃 이데올로기를 부분적으로 개정한다.

Victorian floral ideology socioculturally restricts people’s (in particular women’s) behavior and lifestyles as well as their consciousness through the symbolization of flowers on the presupposition that flowers have linguistic characteristics in themselves. In this paper the floral ideology is used as a “nodal point” for reading the writings of great Victorian thinker John Ruskin and 20th - century modernist feminist Virginia Woolf and analyzing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criticism. Firstly, focused on the representations of flowers and women I search for the nascent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Ruskin and the prototypical ecofeminism in Woolf's writings respectively; I also reconsider the significance that each of those archetypes has. Secondly, given that not only Ruskin but also cultural ecofeminists have been criticized for being essentialists, I read Woolf's essays “Ruskin” and “The Patron and the Crocus” and Ruskin's Proserpina and “Of Queen's Gardens” in the light of those criticisms. Thirdly, I contrast Ruskin's understanding of women— i.e., that care is women’s specific quality and duty—with eco - feminist claims that women are superior to men in the most important matter of caring which makes women superior to men, at least as far as care ethics is concerned. Ruskin highlights women's decorative and familial functions and idealizes pure and sacred women, but Woolf rejects these features violently. In “Killing the Angle in the House”, Woolf revises the Victorian floral ideology to dismantle the dichotomy and reposition women and nature.

1. 들어가며

2. 러스킨의 전체론적 꽃 이데올로기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의 의미와 한계

3. 울프의 빅토리아 시대 꽃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과 생태여성주의적 저항

4. 나오며

인용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