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비판적 리터러시와 감정 리터러시 연계 수업을 구성하고 실행하여 학생들의 글 읽기 모습과 태도와 인식을 보고하고자 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학생들은 성 역할에 대한 글을 읽고 교사의 지도 하에 감정, 비판적 토론 활동을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학기 말 수집 된 학생 성찰 일지, 조별 발표 자료, 그리고 연구자 관찰 노트이다. 수집 된 자료는 질적 연구 분석 방법으로 연구 질문에 해당하는 내용 분석이 이루어졌다. 감정 토론 활동 결과 읽은 글의 이슈와 관련된 개인적인 경험과 연계된 감정의 발현은 조원들과 감정 공유를 하면서 순환되고 재창조되었으며, 더 나아가 비판적인 토론으로 연결되었음이 드러났다. 그리고 독자로서 관련 이슈에 대하여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토론하고 제시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감정과 비판성을 연계시킨 읽기 교육은 학생들이 독자로서 글에 대한 좀 더 균형 잡힌 관점을 가지도록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적극적인 행위자로서의 변모를 보여주는 긍정적인 읽기 교육 접근법에 될 수 있음이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explore how Korean college students read in English in critical and emotional reading classes and how they feel and perceive the ways they did in class. The students read articles about gender roles and discussed the issues in the articles with emotional and critical discussion questions. The data resources include students' reflections, authentic materials they used for their presentations and the teacher's notes. Data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methods revealed that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such as unjust, uncomfortable, sad, angry, depressed, miserable, and adversity were frequently reported. The students not only recognized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regarding each gender issue but also sympathized that gender roles should not be forced socially. They also became more active in discussing and presenting missing perspectives in the article that they read.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reading instruction based on emotions and criticality could be a good reading approach that helps students have a more balanced perspective on what they read, which further helps them transform into active readers.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인용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