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의 갈등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ollege Instructors’ Conflict Experiences in Online Courses: Based 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DOI : 10.22251/jlcci.2023.23.6.41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활동체계에 기반하여 현행 온라인 수업의 교수학습 경험을 확인하고,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실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활동체계 분석 틀을 구성하였고, 4인의 대학 교수자와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온라인 수업 활동체계를 구성하였다. 도출된 온라인 수업 활동체계에 기반하여 온라인 수업에서 겪는 교수자의 갈등과 온라인 수업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모순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 교수자를 주체로 하는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활동체계를 도출하였다. 대학 교수자가 온라인 수업에서 겪는 갈등 경험은 활동체계 구성요소 내 모순인 제1모순(강의경험, 온라인 수업의 구조적 한계)과 활동체계 구성요소 간 모순인 제2모순(온라인 수업의 구조적 한계, 온라인 수업 경험의 부족, 학교의 지원 부족)의 형태로 나타났다. 교수자가 다양한 전략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교수자의 강의 경험’, ‘온라인 수업의 구조적 한계’, ‘온라인 수업 경험 부족’과 같은 근본적인 모순과 달리 ‘학교의 지원 부족’이라는 모순은 교수자가 개인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와 교수자는 온라인 수업의 질적 성장을 위해 수업 지원과 관련한 논의를 확대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다. 결론 첫째, 온라인 수업에서 대학 교수자의 교수활동은 도구에 의해 매개되는 활동이었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서 대학 교수자의 교수활동은 사회적이며 집단적인 활동이었다. 셋째, 온라인 수업에서 대학 교수자의 교수활동은 갈등을 통해 발전하는 활동이었다. 넷째,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 경험은 대학교육에서 온라인 수업의 역할 및 기능을 재탐색하는 기회가 되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online classes by paying attention to instructors' experience of difficulties in the online realm, where role changes have occurred as courses were taught onlin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s the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the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the framework of the online class activity system was establish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instructors who taught online classes at universities. Results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an online teaching activity system of university instructors with an emphasis on the instructors as subjects of the activity system and the problems they faced in online classes. Some inherent contradiction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These included “teaching experience,” “structural limitations of online teaching,” “lack of online teaching experience,” and “lack of support from the school.” Unlike fundamental contradictions such as ‘teaching experience’, ‘structural limitations of online teaching’, and ‘lack of online teaching experience’, which can be resolved by the instructors through various strategies, the contradiction of ‘lack of support from the school’ had characteristics that were difficult for instructors to solve personally. Therefore, schools and instructors need to expand discussions on class support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online courses. Conclusion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teaching activities of university instructors in online classes were tool-mediated and retained a structure of social and collective activity. In addition, in resolving conflicts arising from the online classes, they have expanded from being a means of content delivery to an actual learning community. These qualitative changes in online classes have resulted in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new roles and capabilities in university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