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6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코로나 19(COVID-19)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of Emotion Regu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DOI : 10.22251/jlcci.2023.23.6.8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정서조절 어려움이 우울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확인하고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조절 어려움의 매개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1년 12월 20일부터 2022년 1월 7일까지 코로나19 스트레스, 정서조절 어려움, 우울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426명이 참여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빈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정서조절 어려움은 우울과 부적인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 19 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에서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조절 어려움의 하위 요인 중에서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 부족, 정서적 명료성 부족, 정서조절전략 접근 제한이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조절 어려움이 부분적으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정서조절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 거리두기로 인한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정서에 대한 주의/자각과 정서적 명료성을 높이고 정서조절전략 접근 제한을 낮출 수 있도록 조력이 필요하다. 상담과 교육 장면에서 대학생들의 정서조절 어려움을 낮출 수 있는 개입이 중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 betweeen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of emotion regulation amo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Subjects were 426 undergraduat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 Kenny(1986) methods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21.0 program.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COVID-19 stress and difficulties of emotion regul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In particular, among the sub-variables of COVID-19 stress, it was confirmed that fear of infection and difficulties due to distanc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of emotional control difficulty, lack of emotional attention/awareness, lack of emotional clarity, and limited access t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OVID-19 stress, difficulties of emotion regulation, depress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and help and support measures for clien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