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산업기술연구논문지 제28권 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외국인 유학생의 상황 요인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eign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Situational Factors: Focusing on Interpersonal Skills, Korean Level, and Part-time Jobs

DOI : 10.29279/jitr.2023.28.1.35
  • 41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의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실태를 파악하고, 유학생의 상황 요인인 한국어 수준, 아르바이트 시간, 아르바이트 수입, 대인관계능력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D광역시에 소재한 K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대학생활적응과 실태가 외국인 유학생 요인에 따라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과 t 검정하였고, 한국어 수준, 아르바이트 시간, 아르바이트 수입,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한국어 수준, 아르바이트 시간, 아르바이트 수입,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대학생활적응과 대인관계능력은 중간 정도 수준을 보였고, 한국어 수준과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아르바이트 시간은 아르바이트 수입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한국어 수준과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아르바이트 시간과 아르바이트 수입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서 한국어 수준과 대인관계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to help foreigners adapt to college life,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ternational students’ situational factors such as Korean language level, part-time job time, part-time job income, and interpersonal skills. A survey was conducted on 198 foreign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K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ccording to the factors of foreign students. This study identifi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Korean language level, part-time job time, part-time job income, interpersonal skill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stablished the effect of the aforementioned factors. College life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showed an intermediate le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language level, interpersonal skill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Part-time job hours displayed a positive correlation. Korean language level and interpersonal skills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but part-time job hours and income did not affect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program that can increase the level of Korean and interpersonal skills is needed.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