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와 고령화의 진행으로 전자정부서비스(EGS) 일자리 정보를 이용하는 기기가 다양해지고 일자리 정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전통적인 데스크톱 PC와 노트북 등으로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개인용 스마트폰 기기를 이용한 EGS 일자리 정보 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화 기기의 도입으로 공공 무인민원발급기(Kiosk)와 AI스피커/안내로봇 등으로 EGS 기기가 확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EGS 일자리 정보 이용을 높이기 위해 EGS 자동화 기기 이용과 고령화가 EGS 이용자의 일자리 정보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2021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Probit 회귀모형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EGS 자동화 기기인 공공 무인민원발급기(Kiosk)와 AI스피커/안내로봇 등의 이용은 EGS 워크넷 이용 확률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고령화는 EGS 워크넷이용 확률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무인 민원발급기나 AI스피커/안내로봇 등 자동화 기기의 확대를 통한 EGS 워크넷 이용을 향상시키고 고령층의 EGS 워크넷 이용 제고 방향을 모색하는 정부 정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With population aging and advances in automation, devices to search for employment information via e-government services have diversified with the resultant increases and interest in employment information searches. With the introduction of such automated devices, e-government service devices have expanded to include kiosks and AI speakers/guide robots. Accordingly, a Probit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2021 survey data to analyze the use of automated devices for e-government services and the effects of aging on the use of employment information by e-government service users. Government polic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Worknet use of e-government services with the expanded use of automated devices and the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Ⅰ. 서 론
Ⅱ. EGS 자동화 기기와 워크넷 이용
Ⅲ.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