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분석한 한국 CCM의 정체성
The Identity of Korean CCM through Data-Mining Analysis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신학사상
- 200집(2023년 봄호)
- : KCI등재
- 2023.03
- 399 - 431 (33 pages)
본 연구는 한국 청년 기독교인들의 신앙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CCM의 가사를 데이터 마이닝 통계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여 한국에서 애용되는 CCM의 집단적 특징과 정체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CM 868곡의 가사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가사 50개를 연결성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한국 CCM 가사의 중요도는 하나님(예수), 찬송/경배, 안정과 행복의 감정, 기원, 인간, 교회 및 사회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2,000년대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가장 애용되는 CCM의 세 가지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 한국 기독교인들에게 CCM은 하나님, 인간 그리고 세계 간의 신학적 균형감이 상실된 채 불리고 있다. 하나님에 대한 단어들은 영향력이 대단히 컸지만, 인간과 세계에 대한 단어들은 영향력이 대단히 작았다. 둘째, 한국 CCM에는 공동체성이 상실되어 있다. 이는 2000년대 가족 지향적 개인주의, 성취 지향적 개인주의, 그리고 소비 지향적 개인주의 문화가 CCM을 비롯한 신앙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한국 CCM의 기저가 되었던 역사적 동시대성이 사라졌다. 과거 CCM에는 사회적 문제의식이 투영되어 있었으나, 2,000년대 한국 CCM에는 찾아보기 힘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yrics of CCM,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eligious life of young Korean Christians, through a data mining statistical analysis. Focusing on connectivity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the study analyzed 50 words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lyrics of 868 CCM songs. The result shows that the order of significance in Korean CCM lyrics are God (Jesus), hymn/worship, happiness, prayer, human, church, and society in that order. This analysis shows the thre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CCM music, the most popular form of worship music among Korean Christians in the 2000s. First, for Korean Christians, CCM lacks theological balance between God, man and the world. Words about God were prominent, but words about humans and the world were much less so. Second, Korean CCM has lost the sense of community. It projects family-oriented individualism, achievement-oriented individualism, and consumption-oriented individualism culture for Christian life in the 2000s. Third, historical contemporaneity was the basis of Korean CCM in the 1960s and 70. Social problems were reflected in the past, but it is difficult to find them reflected in Korean CCM in the 2000s.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