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시가화 유형과 PM10 미세먼지 관계에 대한 탐색적 분석 - 경기도 14개 시 사례를 중심으로 -

Exploratory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Developed Area Types and PM10 concentrations - A Case Study of 14 Municipalities in Gyeonggi-do -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가지 유형과 미세먼지 농도와의 순위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지는 경기도 14 개 기초자치단체로 과천, 광명, 광주, 구리, 군포, 남양주, 성남, 수원, 안양, 오산, 용인, 의왕, 하남시를 선정하였 다. 연구대상지 시가화 지역의 형태학적 공간패턴을 이해하기 위해 Morphological Spatial Pattern Analysis(MSPA)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가화지역 유형으로 도출된 각각의 요소들과 PM10 미세먼지농도와의 관계성 분석은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주요결과로는 수도권일대 미세먼지농도와 시가화의 형태 학적 공간패턴 순위 상관관계는 매우 낮거나 거의 없다는 것이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도시화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시가화 지역의 형태학적 패턴과 미세먼지 농도사이에는 순위 상관성이 관찰되기 어려울 수 있을을 함의한다. 이러한 시사점은 기존 많은 연구에서 제시하 였던 특정 토지이용과 미세먼지 농도와의 보편적 관계성은 연구대상지의 도시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anking relationship between developed area types and PM10 concentration. The study site is 14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including Gwacheon, Gwangmyeong, Gwangju, Guri, Gunpo, Namyangju, Seongnam, Suwon, Anyang, Osan, Yongin, Uiwang, and Hanam. Morphological Spatial Pattern Analysis (MSPA) i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spatial pattern of the developed area. Each factor derived as a type of developed area is comparatively analyzed to PM10 concentration by using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The main result is that the rank correlation value between the PM10 concentration and the morphological spatial pattern of developed area is very low or almost non-existent in a highly urbanized area. It implies that it might be difficult to observe a particular relationship between the urbanization rate, morphological patterns, and PM10 concentration in highly urbanized areas. It shows that the universal relationship with PM10 concentration can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urbanization of the study sit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