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양상과 심리적 및 사회관계적 변인과의 관계
The Growth Trajectory of Korean Children/Youths’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Correlates of Self-Esteem
-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미래교육학연구
- 제36권 제1호
-
2023.0363 - 86 (24 pages)
-
DOI : 10.35283/erft.2023.36.1.63
- 27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초4패널(KYCPS2018)의 1차-4차 자료를 사용하여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양상과 매년 아동청소년의 심리적 및 사회관계적 변인들의 자아존중감 예측 여부와 그 효과크기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종속변인인 자아존중감 문항에 대한 측정동일성 가정을 점검하였고, 또한 각 독립변인이 매년 자아존중감을 예측하는지의 여부와 그 효과크기를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측정동일성 가정이 만족되었기에 해당 문항의 평균을 이용하여 자아존중감 패턴을 살펴본 결과,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비선형적으로 감소하였다. 잠재성장모형 분석 결과, 우울은 매해 자아존중감과 부적 관계가 있었으며 그 효과크기는 사용된 변인 중 가장 컸다. 코로나-19 기간동안 사회관계적 변인 중 교사와의 관계의 크기가 또래 친구와의 관계의 효과크기보다 더 컸다. 학술적 기여: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자아존중감 변화양상과 매년 각각의 독립 변인이 자아존중감에 기여하는 것을 살펴본 점이 다른 연구와는 차별점이다. 대인관계가 자아존중감과 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점과 우울이 자아존중감과 부적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환경에서 우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교 및 가정에서 사회관계성 제고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면밀한 자료 분석을 통하여 밝혔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children/youths’ self-esteem changes across four years. In addition, it also investigated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correlates of self-esteem at each time point using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data set. After satisfying metric and scalar invariance assumptions of the self-esteem items over four-time points, the mean of the self-esteem items was used as an outcome variable. Time-varying covariates at each time point were incorporated into a latent growth model to investigate both the overall growth pattern an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d interpersonal variables on the children/youths’ self-esteem at each time point. The children/youths’ self-esteem became lower curvilinearly (inconsistently) as they grew older.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depression was largest compared to those of other variables at each time point.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became larger than those of relationships with peers/friends during the Covid-19 period. This study investigated both the growth pattern and the effects of each variable on children/youths’ self-esteem at each time point using latent growth model. Both the positive associ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negative association of depression with self-esteem suggest that educators at both school and home pay attention to their children and youths not getting depressed in non-face-to-face environments like COVID-19.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