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역사교육연구 제4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의미있는 역사’에 기초한 중·고등학교 역사교수요목 구성방안

A Strategy for Developing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Syllabus Based on ‘Significant History’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있는 역사’에 기초한 중·고등학교 역사교수요목의 구성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를 토대로 ‘의미있는 역사’의 속성인 ① 기본적이거나 중요한 역사적 사실, ② 역사 공부에 도움이 되는 지식, ③ 비판적 사고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역사, ④ 학습자의 시민적 실천에 도움이 되는 역사의 성격과 요소를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중·고등학교 역사교육에서 학습할 한국사 교수요목을 제시하였다. 개발한 교수요목은 1) 역사적 사실과 역사연구의 성격, 2) 역사해석의 쟁점, 3) 민의 사회적 존재 방식과 삶, 4) 전쟁과 사회변화, 5) 국가와 국민, 6) 이동과 교류 6개 주제의 내용요소로, 어떤 한 시대나 또는 여러 시대에 걸친 역사적 사실이나 토픽을 포함한다. 부록으로 제시한 세계사 교수요목도 한국사의 ‘이동과 교류’ 대신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주제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한국사 교수요목의 주제와 같으며, 각각의 주제에 해당하는 내용요소를 선정하는 형식도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요목의 주제나 내용요소가 ‘의미있는 역사’의 속성 중 어느 하나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한 주제가 ‘의미있는 역사’의 여러 속성을 내포거나 내용요소가 ‘의미있는 역사’의 여러 요소를 반영할 수 있다. 교수요목의 내용요소는 역사적 사실이나 토픽 자체뿐 아니라 이를 보는 관점과 이에 접근하는 방법까지를 포함하는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요목은 중·고등학교 역사교육과정이나 교실 수업의 교수요목 자체가 아니라 이를 위한 자료의 성격을 가진다. 실제 교수요목은 교육과정 개발자나 교사가 이 중 일부를 취하거나, 여기에 포함할 새로운 주제나 사실 또는 토픽을 추가할 수도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syllabus based on ‘significant history’. To this end,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attributes and elements of ‘significant history’ were embodied as ① basic or important historical facts, ② knowledge useful for studying history, ③ history that can provide experiences of critical thinking, and ④ civic practice of learners. And then, I applied those attributes and elements to Korean history to suggest the syllabus. The Korean history syllabus through this process includes such as thema. 1) the nature of historical facts and historical research, 2) issues of historical interpretation, 3) social existence and life of the popular people, 4) war and social change, 5) nation and nation people, and 6) movement and exchange. Each theme includes historical facts in a specific era or topics through some period. The world history syllabus presented in an appendix is ​​the same as the Korean history syllabus, except that it includes ‘social function of education’ instead of ‘movement and exchange’ of Korean history. Any one theme of this syllabus does not corresponds an attribute of ‘significant history’. And it is not a fixed syllabus for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curriculum or history classroom, but has the characteristics of ideas and sources for organizing such a syllabus. The practical syllabus may be taken by a curriculum developer or teacher, who can take some of these suggested in this study, add new thema, facts or topics contained within them.

Ⅰ. 머리말

Ⅱ. 역사교육 내용구성 원리로서 ‘의미있는 역사’의 개념

Ⅲ. ‘의미있는 역사’에 기초한 교수요목

Ⅳ. 중·고등학교별 교수요목의 학습

Ⅴ.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