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시장의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이 되는 미술품의 시가감정은 진위감정과 구분하여 체계적인 교육과 자격요건에 따라 전문인력을 양성해야 하는 영역이다. 최근 도입된 미술품·문화재의 물납제로 인해 제도적으로도 미술품 시가감정의 전문성과신뢰성이 긴요해지고 있으며 인력의 직업화가 논의되고 있는 시점이나, 인력 양성을 위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미술품 시가감정 인력(art appraiser) 양성 현황과 수요, 역할(직무) 및 핵심 역량, 그리고 인력 양성 방안의 포괄적인 연구 문제를 탐색했다. 해외 선진 사례 검토와 국내전문가 질적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인력 양성의 논의점을 첫째, 미술품 시가감정인력 양성의 구체적 수요와 전제, 둘째, 미술품 시가감정 인력의 직명 통일, 셋째, 미술품 시가감정 관련 용어 및 실무 가이드라인 정립, 넷째, 직무·역량을 바탕으로한 단계적·체계적 교육과정 설계, 다섯째, 자격 제도 도입 여부, 마지막으로 정부·산업계·학계의 상보적·협력적 역할 측면에서 제시했다. 본 연구는 미술품 시가감정의 실무 기반과 학술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실증적 자료에 기초해 미술품시가감정 인력 양성의 방향성을 탐색하여 향후 미술품 시가감정 제도 및 인력 양성정책 수립의 토대를 마련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a direction for developing professional art appraisers based on related literature reviews and qualitative interviews, in order to strengthen art appraisers’ reliability and ensure the art market’s sustainable growth. Art appraisal is a specialized area, which is distinct from authentication, and it requires that personnel be systematically educated and trained based on specific qualifications. Institutionally (e.g, the recently introduced system for the payment-in-kind with artwork·cultural heritage for inheritance tax), reliable practice of art appraisal is becoming more imperative, and professionalization is being discussed in Korea. Against this background, as a result of exploring research problems for fostering art appraiser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2 experts, opinions on the demand for art appraiser manpower, job title·duty·competency, manpower training plan, and the role of the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a were summarized. After evaluating advanced cases from oversea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domestic experts, suggestio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rt appraisers were discussed in 6 areas as follows: (1) specific demands and premises for fostering art appraiser; (2) unifying the professional title of ‘art appraiser’; (3) establishing term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art appraisal; (4), step-by-step and systematic curriculum design based on job and competency; (5), introduction of an official licence system; and (6) finally, the complementary and cooperative roles of government, industry and academi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on suggesting a direction for fostering professional art appraisers in Korea based on empirical data while the theoretical bases of art appraisal and the academic research on it are yet insufficien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인터뷰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