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62587.jpg
학술저널

일제의 한국침략과 국가책임

국제법의 법규범성을 둘러싼 논의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는 국제법학상의근본문제이다. 그리고 국제법의 법규범성과 책임개념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법규범의 특질은 법 주체에 대해 일정한 행위를 지시하거나금지하는 행위규범과 해당 주체가 행위규범이 명하는 일을 하지 않는 경우의제재를 정한 재판규범이라는 규범의 이중성에서 도출할 수 있다. 국제사회에 타당한 규범 중에는 법규범의 특수한 규범형식을 가진 것이 있다.일반적으로 국제법규라 불리는 규범이 그것이다. 이러한 규범은 일정한 주체가일정한 요건 하에 일정한 행위를 하여야 한다는 것을 정한 것이다. 만일 그것이되지 않을 때에는 그 주체에 대해 다른 일정한 행위가 행해져야 한다. 주체의책임을 묻고,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수정이 거절되면 일정한 경우에 국제재판에호소할 수 있다. 일정한 강제적 수단을 취할 수도 있다. 이것을 전체적으로보면, 일정한 주체는 일정한 요건 하에 일정한 행위를 해야 하며, 만약 그것을하지 않으면 그 주체에 대해 다른 일정한 행위가 행해져야 한다. 그것은 바로법규범의 특수한 규범형식이다. 일제가 한국을 침략하고 한국민에게 고통을 가한 것은 숨길 수 없는 역사적사실이다. 본고는 일제의 한국침략과 국가책임을 검토하였다. 일제가 계획적으로조선을 침략하기 위한 사상적 기반으로서의 정한론을 살펴보고 이어서 을사조약법적 무효 근거를 밝힌다. 을사조약 법적으로 무효인 근거를 밝힌 후 일본 학자들이주장한 병합조약 합법론의 모순을 지적한다. 일본 정부는 과거 한국에 대해저지른 역사적 과오에 대해 성실한 사과와 개인보상의 책무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e debate over the legality of international law is a fundamental problem in the academic international law that continues to this day.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legal norms and the concept of liability in international law. In other words, the characteristics of legal norms can be demanded from the duality of norms: a code of conduct that instructs and prohibits certain actions against a legal subject, and a judgment rule that sets sanctions for cases where the subject does not do what the code of conduct requires. Among the norms that are vali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 are some that have a special normative form of legal norms. These are the norms commonly referred to as international laws. These norms stipulate that certain subjects must perform certain actions under certain conditions. If that is not the case, some other action must be performed on the subject. Anyone can ask for the liability of the subject and request corrections. If the amendment is rejected, an appeal can be made to an international tribunal in certain cases. Certain powerful measures may be taken. Looking at this as a whole, a certain subject must perform a certain action under certain conditions, and if not, another certain action must be performed on the subject. It is a special normative form of legal norms. The fact that Japan invaded Korea and inflicted suffering on the Korean people is a historical fact that cannot be hidden. This paper examines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state liability. Korea conquest theory as an ideological basis for Japanese imperialism to deliberately invade Chosun will be examined, and then the grounds for invalidation of the Eulsa Treaty will be revealed. After revealing the legal grounds for invalidation of the Eulsa Protection Treaty, it points out the contradiction in the legal theory of the annexation treaty asserted by Japanese scholars. The Japanese government pointed out that it has a liability to sincerely apologize and compensate for the historical illegal acts it has committed against Korea in the past.

Ⅰ. 시작하며

Ⅱ. 일제의 계획적 조선침략

Ⅲ. 을사조약 법적 무효의 근거

Ⅳ. 한일합병조약 법적 무효의 근거

Ⅴ. 한국병합조약 합법론의 모순

Ⅵ. 성실한 사죄와 개인보상의 책무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