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9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사협력활동과 교수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분석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of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vidence from TALIS 2018

DOI : 10.14333/KJTE.2023.39.2.04
  • 25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협력활동과 교수역량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TALIS 2018 자료 중 우리나라 초등교사 3,165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Mplus 5.2를 이용하여 교사의 표본 가중치를 구조방정식 모형에 적용한 후,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협력활동과 교수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교사협력활동과 교사효능감, 교수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기에 더 적합한 모형은 부분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 교사협력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교사일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으며 높은 교사효능감은교수역량과도 정적인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이 교사협력활동과 교수역량의 관계를 정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수역량 증진을 목적으로 둔 교사협력활동을 계획하고시행할 때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초등교사를 모집단으로 한 자료를 분석하였기에 연구 결과의일반화가 용이하다는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relationship of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3,165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of TALIS (TeachingAnd Learning International Study) 2018. Two mediating models (full mediation and partial mediationmodels) were compared,using Mplus 5.2.In particular, sampling weights of teachers were incorporated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ccount for possible selection bias. Resul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of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eaching competenc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the partial mediationmodel outperformed the full mediation model in terms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explanation. Conclusion: Teachers who actively participates in teacher collaboration were found to have higherefficacy, and higher efficacy in turn lead to higher teaching competencies.And teacher efficacy shows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ing competencies. This study can beutilized as an evidence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effective teacher collaboration activities topromote teaching competencies. The fact that this study analyzed a large-scale dataset (TALIS) whichtargets the whole popula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lso contributes to the generalizationof the resul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