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9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요인과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과정에서 특징과 어려움

The Teacher’s Participation Factor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TLC)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vergent Subject TLC

DOI : 10.14333/KJTE.2023.39.2.05
  • 197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습공동체(동교과, 융합교과)에 교사들이 참여하는 요인을 비교하고,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어려움을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관련된 교사 5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교사학습공동체별참여요인과 운영과정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때, 참여요인은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조직적 요인으로 범주화하였으며, 운영과정은 도입 시기, 학습과 실천의 전개 시기, 마무리 시기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교사가 동교과 교사학습공동체와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요인은 유사해보일지라도 주안점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먼저 교사가 동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요인은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의 학습 욕구와 협업의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사가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요인은 교수⋅학습의 개선 의지, 융합 교육의 중요성과 같은 가치관 공유, 교과별 분리된 전문성의 극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동교과 교사학습공동체와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가 서로 다른 목적이나 특징을 가진다는 교사 인식에서 기인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융합교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과정에서 특정 교과가 중심이 되어 교과 간 내용을 연결할 수 있는 맥락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공개수업으로실행한 뒤에 개인적⋅구조적으로 반성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때, 교과 간 연결 찾기의 어려움, 수업 차시의부족, 평가 연계성의 결여가 지적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선행연구를 확장하고, 융합 교육을 실행하고자 하는 교사를지원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에 아이디어를 제안하는데 시사점이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eachers’ participation factors in the teacherlearning community(TLC)(the same subject, the convergent subject),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and difficulties that appear in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vergent subject TLC. Methods: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interviewed 5 teachers related to the convergent subject TLC,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the participation factors of each TLC and operation process ofthe convergent TLC.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factors, socialfactors, and organizational factors. The operation process was divided into introduction, learning andpractice of proceeding, and finishing. Results: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rticipation factors between the same subjectTLC and the convergent subject TLC. The teachers’ participation factors in the same subject TLCinclude learning need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methods, satisfaction of collaboration,and overcoming closed school cultures.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participation factors in theconvergent subject TLC include the willingnes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sharing values suchas the importance of convergent education, and overcoming the separate expertise by subject. Thisdifference is attributed to the perception of teachers that each TLC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Inaddition, the convergent subject TLC is composed of specific subjects, develops programs in the contextof connecting the contents between the subjects, conducts open classes and then reflects on thempersonally and structurally. Conclusion: In this process, it was pointed out that the difficulty on finding connection betweensubjects, lack of class time, and lack of evaluation connectivity were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have implications in expanding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TLC and suggesting ideas for createmeasures to support teachers who want to implement convergence education.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