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교원교육 제39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VR(틸트 브러쉬/Tilt Brush) 이미지 창작 매체의미술교육 적용과 도출 문제 분석

Analysis of Art Education Application and Derivation Problems of VR(Tilt-Brush) Image Creation Media

DOI : 10.14333/KJTE.2023.39.2.07
  • 22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술이 접목된 미래 교육의 일환으로써 틸트 브러쉬 프로그램을 활용한미술교육 적용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도출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특성화 학교인 B-예술중학교에서 진행한 가상현실(VR)을 활용한 미술 교육활동에 참가하여실행연구을 수행하였으며, 해당 수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전문 강의자들을 통해 표적 집단 면접(Focus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해당 수업을 진행하여 물리적인 문제와 비물리적인 문제가 확인되었다. 첫째, 사용에 있어 대중적이지 않은 새로운 기술과 기기의 도입에 따른 교육자와 피교육자가 느끼는 ‘매체의 생경함’이다. 둘째,학교 교육환경이라는 특수함에 따른 물리적인 제약들이 확인된다. 셋째, 해당 매체가 미술교육에 도입이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엔 다양한 문제가 존재하고 이러한 환경이 발전을 저해한다고 판단된다. 이를 ‘저변확대의 한계점’으로 해석하였다. 결론 2022개정 교육과정의 ‘디지털 기반 교육’에 부합한 미래 교육의 도입을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와같이 교육 현장에서 도출된 다양한 문제의 확인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지속적인행정적 지원으로 말미암아 교육환경의 변화와 체제 구축이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선행연구가 효율적으로활용되는 사회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application of Art Education using the tilt brush programas part of future education incorporat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nalyze various problems derivedfrom the field. Methods: A practical study was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Art Education activities using virtualreality at B-Middle School of Arts, a specialized school,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with professional lecturers who had experience in conducting the class were carried out. Results: Physical and non-physical problems were confirmed through conducting the class. First,educators and trainees felt ‘unfamiliar with the medium’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and devices that were not in popular use. Second, the physical limitations according to the specialnature of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are confirmed. Third, it was judged that there were variousproblems for the media to be actively introduced into Art Education, and that these environmentshinder development. This was interpreted as the ‘limitation point of base expansion’. Conclusion: In order to introduce future education practices that meets the 'digital-based education'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dentify various problems derived from the educationalfield,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 suggests that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establishment should be made through continuousadministrative support at the national level, and social interest and efforts to rapidly apply variouspreceding studies are requir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