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보호자가 인식하는 보호자 지원에 대한 경험 및 요구
Experiences and Needs of Caregive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 S upports for the Caregivers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교원교육
- 제39권 제2호
-
2023.03205 - 226 (22 pages)
-
DOI : 10.14333/KJTE.2023.39.2.10
- 14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 보호자를 대상으로 장애인 보호자에게 제공된 지원의 수혜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 장애인 보호자에게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에 대한 보호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장애인의 보호자로 역할하는 장애인의 부모, 형제자매를 17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보호자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지원 기관의 부족으로 장애인 돌봄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장애인 보호자는 장애인 보호자를위한 지원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원이 장애인 보호자에게 초점이 맞추어진 지원임을 알지못하였다. 셋째, 장애인 보호자는 장애인 또는 보호자에 대한 지원을 스스로 찾아 나서야만 지원을 받을수 있다는 것을 안타까워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인 보호자는 교육적, 심리⋅정서적, 법적, 의료적 지원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지원을 요구하였다. 결론 장애인 보호자를 위한 지원은 장애인의 연령이나 가정의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폭넓게 이루어져야하고, 체계적인 과정으로 실행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benefiting from the support provided to the caregivers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d the caregivers' perception of what support is necessary for them. Methods: For this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7 caregivers of people withdisabilities, including parents and sibling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giver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were suffering from caregiving due to a lack of various programs and institutions for the people withdisabilities. Second, the caregivers did not know that the support was focused on the caregivers, eventhough they were receiving supports for themselves. Third, the caregivers felt sorry that they couldonly receive supports by finding support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or the caregivers on theirown. Finally, the caregivers had requests for supports in various areas such as educational, psychological,emotional, legal, and medical assistance. Conclusion: The support program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should be expandedcomprehensively regardless of age or the income level of the family. As well, the entire process ofthe support for the caregiver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implemented more systematically.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