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語文硏究 第115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가사 문학 DB화의 현황과 활용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Databaseization of Gasa Literature Focused on the Gasa Database

DOI : 10.17297/rsll.2023.115..004
  • 73

이 논문은 디지털화 된 가사 작품 DB 가운데 한국 가사 문학 DB, 경북 내방가사 DB, KRPia 등을 비교하여 그 현황과 활용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정보화 시대를 맞아 인문학도 디지털을 이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더 나은 DB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 DB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작 DB의 신뢰성, 정확성 등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2000년대 이후 많은 고전 문학 작품들이 디지털화 과정을 거치면서 자료의 효율적 관리와 사용을 위해 DB화가 진행되었다. DB는 다양한 이용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DB 간의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각 DB 간 정보 공유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어떤 DB를 접속하더라도 다른 DB와 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료의 효율적 검색과 활용, 폭넓은 관점으로 작품 분석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DB 자료의 수정·보완이 필요함을 말하였다. 기존의 DB는 출간된 서적의 자료를 디지털화하거나 사업이 종료되어 지속적 관리가 어려운 상황이다. 자료의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작품과 관련된 피드백이 가능한 공간을 만들어 이용자 간의 소통이 된다면 잘못된 정보를 수정하여 올바른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다. 이 공간을 좀더 확장시켜 현대 가사를 창작하는 창작자, 소장자, 향유자가 자료를 업로드하고 가능하다면 디지털화하여 또하나의 DB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았다. DB 자료를 이용 시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해 윷놀이 가사를 검색하여 제목과 내용에 핵심어가 등장한 자료 17편을 확인하였다. 이 자료들은 주 내용과 상관없이 해당 단어가 등장하면 찾아주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검색 항목의 다양화, 상세한 메타 데이터 작성, 색인어 추가 등 작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사 문학 DB화의 활용적 측면에서 가사 문학 수업 시 DB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가사 작품과 관련된 수업을 할 때 DB에서 원문과 정확한 정보들을 수집한다. 작품과 관련된 자료들을 추가로 수집하여 위키 등을 활용해 정보를 연결 짓는다면 폭넓은 자료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puts an in-depth study on digital Gasa literature's status and issues and tries to devise alternatives for solving problems. Humanities research through digital has diversified, such as content development, analysis of different versions, and new curriculum development. Digitalization of data, the primary work of digital classical literature, has achieved a series of outcomes through individual and related support projects such as Korean Gasa literature DB, Gyeongbuk Naebang Gasa DB, and KRPia. In terms of utilizing this database, a program for information sharing using hyperlinks or the user's feedback space is required. Next,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ose three databases were used by searching Gasa literature with the game of Yut, and the contents were found. The search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e content to be intended because of the limited words appearing in the title, content, and release. It indicates that the function of the search systems needs to be advanced to use the database appropriately. For instance, detailed metadata modifications and supplements and additional index word verifications are imperative for the precision of searching and the proper utilization of databases.

1. 디지털 고전 문학

2. 가사 문학 DB화의 현황

3. 윷놀이 가사 작품을 통해 본 DB

4. 결론 - 가사 문학 DB 활용 제안을 겸하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