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語文硏究 第115輯.jpg
KCI등재 학술저널

리터러시의 전환과 융합의 글쓰기

Transformation of literacy and writing of convergence: Redesign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incorporating media literacy

DOI : 10.17297/rsll.2023.115..010
  • 156

이 글의 목적은 최근 대학 교양교육 학습자에게서 확인되는 리터러시의 전환 양상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매체 리터러시가 접목된 글쓰기 교육으로 수용하는 데 있다. 이와 관련된 고찰은 크게 두 단계를 거쳐 진행될 것이다. 먼저 2장에서는 조르조 아감벤의 서사론에 기대어 디지털 기술 발달에 따른 리터러시의 확장이 지닌 특성을 살핀다. 이를 통해 인쇄된 문자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 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는 텍스트의 의미화 과정이 리터러시를 형성하는 본질임을 재확인할 것이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대학 교육의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교양 국어 개편 방향을 주제, 구성, 활동이라는 세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했다. 여기에는 ‘나’에 대한 성찰과 ‘공동체’를 연결하는 사유, 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한 학습자 간의 감각적 접촉, 문자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의 유기적 접목이 포함된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기존 공통 교육 과정이 지닌 인쇄된 문자 텍스트 중심성을 지양하고, 문자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를 접목한 매체 리터러시 중심의 학습자 친화형 교육 모형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처럼 학습자들의 자율성을 강화한 매체 리터러시 접목형 교육은 리터러시의 전환을 둘러싼 새로운 의미망을 대학 교양과정에 적용하는 융합형 강의의 대안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transition pattern of literacy that has recently been confirmed by learners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and to incorporate the results into the writing curriculum incorporating media literacy. The consideration related to this will be largely carried out in two stages. First, Chapter 2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of literac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leaning on Giorgio Agamben's narrative theory. Despi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nted text and the composite text in this process, ultimately, it will be confirmed that the semanticization process of the text is the essence of literacy formation. Next, in Chapter 3, the direction of reorganization of liberal arts Korean to cope with the crisis of university education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theme, composition, and activity. This includes reflection on 'I' and reasons connecting 'community', sensory contact between learners using mobile platforms, and organic grafting of text and compound text. Through these changes, we intend to avoid the printed text centrality of the existing common curriculum and implement a learner-friendly education model centered on media literacy that combines complex style text. In this way, the media literacy grafted curriculum that strengthened learners' autonomy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convergence lectures that apply a new network of meanings surrounding the conversion of literacy to the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1. 들어가며

2. 리터러시의 확장

3. 매체 리터러시를 접목한 글쓰기

4. 나오며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