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한옥체험업의 생존함수를 추정하고 주요 생존요인을 도출해내기 위해 생존분석을 수행하였다.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통해 2009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개·폐업한 1,880개의 한옥체험업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 사용하였다. 한옥체험업의 전체 생존함수 추정 결과, 한옥체험업은 개업한 직후부터 폐업의 위기에 노출되며, 특정시점에 생존율이 급감하기보다 매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카플란-마이어분석을 통해 지역, 인증, 안전 및 위생, 역사 변수별 생존함수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생존요인을 도출하기 위해콕스비례위험모형을 적용해 생존분석을 수행한 결과, 한옥체험업의 생존요인으로 지역, 밀집도, 공간적 적합성, 인증, 안전및 위생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옥체험업의 생존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통찰력을 제공하여 한옥체험업생존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옥체험업의 생존을 도울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survival function of the Hanok accomodation and examine its key survival factors. Using the data made publicly available by the government, we examined a sample of 1,880 Hanok accommodations operated between 2009 and 2021. The estimated overall survival function suggested that Hanok accommodations were exposed to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immediately after opening, and the survival rate continuously decreased every year rather than plunging at a specific point. The Kaplan-Meier analysis showed that the survival rate differed based on location, certification, safety/hygiene, and historical variables. The Cox regression model indicated that the survival of Hanok accommodations depended on location, density, land-use suitability, certification, and safety/hygiene. These findings can help better understand Hanok accomodations’ survival factors and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survival of Hanok accommodation.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 the government and Hanok accomodation hosts with practical solutions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Hanok accommoda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