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변화와 여가 만족 및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Among the Changes of Leisure Activity, Leisure Satisfaction,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COVID-19 Pandemic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제27권 제1호
- : KCI등재
- 2023.03
- 65 - 83 (19 pages)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변화를 알아보고 여가활동의 변화와 여가 만족 및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도 소재 중학생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 전후 참여한 여가활동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코로나 이후 취미오락활동과 휴식 활동에 편중되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정서적 만족이 가장 높았고, 신체적 만족이 가장 낮았다. 또한, 스마트폰 과의존의 경우 잠재적 위험 과의존군의 비율이 높았으며, 여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여가활동 변화 여부에 따른 여가 만족도와 스마트폰 과의존분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오랜 기간 취미오락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경우 잠재적 위험 과의존군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코로나-19 상황 종료 후 청소년들이 취미오락활동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활동적인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 청소년 기관이 서로 연계하여 다양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성장·발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activities, leisure satisfaction,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under the COVID-19 pandemics in adolescent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t sample drawn from 267 students from junior high school in Gyunggi area and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leisur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COVID-19 pandemic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fter COVID-19, most of adolescent participated in hobbies and entertainment activitie. Participants showed the lowest leisure satisfaction in physical part both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addition, the smartphone usage time of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during week days and weekends. Changes of leisur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COVID-19 did not affect leisure satisfaction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but did increase smartphone usage time and potential risk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refore, after the end of the COVID-19 pandemics, families, schools, and youth organizations should work together to develop various leisure activity programs and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adolescents for their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