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적 지식에 대한 철학적 인식론 중 사회적 구성주의는 집단(수학 공동체)의 합의에 의한 승인으로서 실체적 객관성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을 이용하여 사회적구성주의의 배경이 되는 사회 인식론의 체계를 세우고자 했던 List(2005)의 연구에 주목하였다. 특히, “개인의 판단 경향이 참에 더 편향될 것이다”는 List(2005)의 전제를 “개인의 판단 경향이거짓에 더 편향될 것이다”로 대체할 경우, 그의 연구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는 사회적 구성주의라는 인식론을 교수-학습이라는 상황에 적용할 때 논의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슈를 제기해줄 것으로 기대하였다.
Among the philosophical epistemology of mathematical knowledge, social constructivism presents an alternative to objectivity as a consensus of the group (mathematical community). This study focused on List (2005)’s mathematical modeling which tried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studying institutional design in social epistemology that is the background of social constructivism. In particular, we see how the results of his research differ when “individual judgments are biased toward the truth” is replaced by “individual judgments are biased toward the false.” We expect tthat a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some additional issues when applying theory of social constructivism to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