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예술가들의 직업정체성과 예술노동 인식의 세대론을 탐구하는 것으로, 40세 전후 예술가 16인을(30세~59세) 심층인터뷰하여 이들의 인식을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40세 전후로 명확한 세대론이 확인되지 않았다. 세대 간 차이 없이 동일한 인식은 첫째, 참여자 대부분이 예술가 직업을 생계를 보상받을 수 없는 ‘불완전’한 직업이라고 생각하며, 죽기 전 ‘전업작가’가 되길 희망한다. 둘째, 가난한 천재예술가 신화에서 비롯된 ‘순수창작의 자유 정신’을 추구한다. 한편, 예술인복지제도에 대한 인식은 크게 44세 전후로 ‘관심’과 ‘경험’에서 세대차가 나타났고, 사업 인식 면에서 44세 이전 세대의 ‘세대 내 갈등’이 확인되었다. 그 밖에, 몇몇 작가들에게서 ‘예술을 유지하기 위한 부업’은 이제 예술가와 나란히 ‘제2의 직업’ 혹은 ‘본업’ 등의 명칭으로 승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generational theory of artists' job identity and perception of artistic labor, and 16 artists around the age of 40 (30-59) were interviewed in-depth to interpret their percep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no clear generational theory was confirmed around the age of 40. The same perception without generational differences is first, most of the participants consider the artist job to be an “incomplete” job that cannot be compensated for their livelihood, and hope to become a “full-time Artist” before they die. Second, they pursue the spirit of “spirit of freedom of pure creation” derived from the myth of poor genius artists. On the other hand, the perception of the artist welfare system showed a generation gap in “interest” and “experience” around the age of 44, and “in-generation conflict” before the age of 44 was confirmed in terms of “awareness.” In addition, 'side jobs to maintain artistic creativity' have now been promoted to names such as 'second jobs', and 'main jobs' alongside artist job.
1. 서론
2. 선행연구 분석 및 연구방법
3. 예술가들의 직업정체성과 예술노동 인식
4. 예술가들의 직업정체성과 예술노동 인식에서 세대론 탐색
5. 결론 및 논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