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 연구: 성별다양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Longitudinal study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diversity

  • 79

본 연구는 조직 내 여성비율의 증가에 따른 조직 환경의 변화가 조직구성원의 인적자원 성과에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여성비율이 미치는 조절효과를실증하였다.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AMO 이론에 따라 역량향상 제도, 동기부여강화 제도, 기회확대 제도로 구분하고 이를 번들화(bundles)하였다. 실증연구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원기업패널자료 중 6차(2015년)와 7차(2017년)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 분석을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역량향상번들과 동기부여강화번들은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비율의조절효과에서는 역량향상번들만이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hanges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 on the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as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organization increases.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effects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on job satisfaction and examined the effect of women’s rates which is a moderating fa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job satisfaction. High-performance work system components were bundled with capacity enhancement system, motivation enhancement system, and opportunity expansion system according to AMO theory. To do this,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6th(2015) and 7th(2017) data of the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 of the KRIVET(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analysis. As a result,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capacity enhancement bundles and motivation enhancement bundles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emale ratio, it was found that only the capacity improvement bundl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