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초기경력 경찰공무원의 직업정체성 구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Vocational Identity of Generation MZ Early Career Police Officers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 제7권 제2호
- : KCI등재
- 2023.03
- 109 - 136 (28 pages)
본 연구는 MZ세대 초기 경력 경찰공무원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직업정체성 구성과정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CQR-M을 적용하여 MZ세대 경력 5년 이하 경찰공무원 55명으로부터 개방형 질문의 주관식 설문지를 받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직업정체성 구성과정은 5개 영역, 10개 범주, 33개의 하위범주로 드러났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경찰은 나의 꿈’, ‘적성에 대한 고려’, ‘사회에 꼭 필요한 존재’ 등의 이유로 경찰을 동경하여 직업으로 선택하였다. 둘째, 경찰이 된 후 ‘사회적 인정’,‘도움에 대한 감사함의 보상’,‘가족의 기쁨’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느낀 직업적 자부심은 정체성의 내면화를 촉진하였으나, ‘경찰에 대한 부정적 여론’,‘민원인들의 욕받이’,‘경찰 만능주의’,‘유독 경찰에게 높은 윤리적 잣대’로 정서적 소진현상을 겪으며 서서히 사라져 가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직업 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경찰고유의 직무특성과 공무원으로서의 장·단점에 양가적 평가를 하게 되었고, 위계적 조직과 경직된 분위기에서 적응의 어려움으로 직업정체성에 갈등을 겪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넷째, 적응과정 속에서도 연구 참여자들은 ‘조력자의 구원’으로 힘을 얻었고, ‘적응력의 향상과 생존전략’을 통해 직업정체성을 현실적으로 조정해 나가면서 타협과 수용의 과정을 경험하였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이 경찰로서 직업정체성을 재구성한 결과는 ‘한 인간으로 행복한 경찰’ 또는 ‘국민에게 봉사하는 경찰’로서 개인의 삶과 직업인의 역할을 각각의 맥락에서 최선을 다하면서 균형 있게 가져가려는 노력을 통해 낙관적인 미래를 그리고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로 담론으로 연구되어 왔던 MZ세대의 특성을 경찰공무원에 적용해 봄으로써 직업정체성이 구성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MZ세대 경찰공무원과 조직의 상호 긍정적인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voc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vocational awareness and experience of early career police officers of generation MZ. This study analyzed by apply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CQR-M) based on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received from 55 generation MZ police officers up to 5 years of experienc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vocational ident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revealed 5 areas, 10 categories, and 33 subcategorie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longed for the police and chose their vocation for reasons such as ‘police is my dream’,‘consideration of aptitude’,‘essential part of society’. Second, after becoming police officers, the professional prid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social recognition’,‘positive feedback of gratitude for help’, and ‘joy of family’ promoted the internalization of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 professional pride gradually disappeared as they suffered emotional exhaustion from the ‘negative public opinion about police’,‘the victim of criticism of civil petitioners’,‘police universalism’, and ‘high ethical standards for the police’. Third, through job experie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made ambivalent evaluations on the unique job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ers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ivil servants. They showed experience conflict with vocational identity due to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a hierarchical organization and an uncomfortable atmosphere. Fourth, even in the process of adjustment, the research participants gained strength through ‘helper′s salvation’, and experienced the process of compromise and acceptance while realistically adjusting their vocational identities through ‘improvement of adaptability and survival strategy’. Finally, the result of reconstructing the vocational identity as a police officer is ‘happy police officers as a person’ or ‘police officers serving the people’. They were drawing an optimistic future through efforts to do their best in each context of individual life and professional role, but to take in a balance wa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at it deeply analyze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vocational identity by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tion MZ, which has been mainly studied as a discourse, to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the mutual positive development of generation MZ police officers and organizations were suggest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