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신약연구 제22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신약성경에서 본 벨하신앙고백서

Belhar Confession in Terms of the New Testament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오욕의 역사인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등장한 신앙고백은 케이프타운 교외의 벨하(Belhar)에서 작성된 ‘벨하신앙고백서’(Die Belydenis van Belhar)이다. 벨하고백서는 남아공의인종차별을 반대하는 점에서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카이로스문서(Kairos Document, 1985)와 흡사하다. 모든 종류의 차별에 맞서 일치와 화해 그리고 하나님의 정의를 천명한 벨하고백서가 신약성경의가르침을 어떻게 담아내는지 소개하고 평가한다면, 한국교회와 사회가 분열과 갈등을 치유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다. 이 글의목적은 아직까지 신약성경의 관점에서 평가된 바 없는 벨하고백서를신약신학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데 있다. (1) 벨하고백서의 역사 그리고 내용에 대한 담론분석, (2) 벨하고백서의 신학, (3) 신약성경에서 본 벨하고백서의 일치, 화해, 그리고 정의 개념에 대한 평가, 그리고 (4) 한국 상황에 적용을 차례로 연구한다. 덧붙여, 일반 학문은다차원적인 방법론을 동원하거나 통섭을 통하여 학제 간의 융합과지평의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가 신약신학과 조직신학적인신앙고백연구 사이의 학제 간 연구를 진작시키는 유의미한 모델과선례를 남기기를 의도한다.

During the period of Apartheid as an infamous historical fact in South Africa, Belhar Confession was emerged in a small town of Belhar located in the suburb of Cape Town. Belhar Confession is similar to Kairos Document (1985) in that both of them are aimed to against Apartheid and its overarching effects. Korean church and society might get some insights from Belhar Confession in order to heal their division and conflict. Thus, an introduction and an evaluation of this confession, which pursues unity, reconciliation, and God’s justice in opposition to any kind of racism, are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Belhar Confession, which has not yet been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w Testament in terms of New Testament theology. For this aim, the following 4 steps of studies are taken: (1) The history of Belhar Confession and the discourse analysis on it, (2) the theology of Belhar Confession, (3) an evaluation of unity, reconciliation, and justice as three cores of Belhar Confession in the light of the New Testament, and (4) application of Belhar Confession into the Korean context. In addition, general studies are attempting to converge and expand the horizons between disciplines by mobilizing multidimensional methodologies or through consilience. This study intends to leave a meaningful model and precedent that promot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New Testament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of confession of faith.

1. 들어가면서

2. 벨하고백서의 역사 그리고 내용에 대한 담론분석

3. 벨하고백서의 신학

4. 벨하고백서의 일치, 화해, 그리고 정의에 대한 신약성경적 평가

5. 나오면서: 한국적 적용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