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차학회지 제29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당대 법문사 지궁 다구 용도와 음다법에 관한 소고

A Study Uses and Tea Brewing Method of Tea Utensils Found in the Underground Relic of Tang Dynasty Beop-Moon Temple

DOI : 10.29225/jkts.2023.29.1.1
  • 105

본고는 법문사 지궁 다구의 용도에 대한 중국과 우리나라 연구자들 간에 서로 다른 의견에서 시작되었다. 지궁에서 발견한 동일한 기물에 대한 용도가 서로 다르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우리나라는 문헌 자료가 희박하고 관련 연구성과가 부족하여 중국에서 새롭게 발표한단행본, 학술논문, 학위논문 등을 참조하였다. 연구의 결과 ‘유금은귀합’과 ‘유금인물화은담자’는 차도구가 아닌 향구로 밝혔다. 그리고 법문사에서 출토된 다기들을 활용하여 이 시기의 궁정황실의 음다법은 전다법에서점다법으로 발전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유리 다완에 바로 가루차와 소금을 넣은 후 수저로 격불하는 음다법이다. 본 연구는 법문사 지궁 차구 용도 연구의 문제점 및 필요성을 인식하고 연구자료를 기초로 당대 차문화의 표준성을 띠고 있는 법문사 차구를 좀 더 객관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Department of Korean Tea Cultur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nam 52725, Korea Abstract The differences in opin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researchers on the uses of tea utensils found in the underground relic of Beop-Moon Temple motivated this study. They perceived the use of same object found in the underground relic in different ways. Books,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newly published in China were referenced as a methodology for the specification of the problem since literature data and related research results in Korea are lacking. The results showed that Yukeumeunkuhaband Yukeum-inmulhwaeundamja not tea utensil, but fragrance utensil. And during this period, the royal family's brewing method was in a transitional period developing from Jeon-cha method to Jeom-cha method. The tea utensils excavated from Beop-Moon Temple were used in the tea drinking method, in which powdered tea is put in and then burnt with a spoon. This study intended to recognizes the problems and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use of tea utensils found in underground relic, and based on the research data, to approach tea utensil found in Beop-Moon Temple, which is a standard at that time, more objectively.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