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설에 의한 신라(新羅) 강역은 한반도 남쪽의 경상도 경주(慶州)에서 시작하여 통일 신라에 이르러 강역이 현재 북한 평양(平壤)을 전혀 넘지 못한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신라의 경계에 있는 당(唐)이 설치한 안동도호부의 위치가 평양이라는 주장에 근거하는 것으로 고조선의 수도인 평양성부터 고구려의 평양성 그리고 그 위치에 당(唐)이 설치한 안동도호부(安東 都護府)까지 모두 현재의 평양이라는 것이다. 이는 학계에서 비판을 받고 있는 고조선 평양과 한(漢)이 설치한 낙랑군(樂浪郡)이 모두 북한 평양이라는 ‘한사군 재평양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와 관련된 강역의 해석 문제는 고조선, 고구려 뿐 아니라 통일 신라의 강역까지도 모두 연결된다. 하지만 중국의 여러 사료들을 보면 당(唐)이 설치한 안동도호부와 고구려의 평양이 현재 북한 평양이 아닌 북경 일대에 있는 하북성‘평주(平州) 노룡현’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여러 문헌과 고지도의 내용과도 일치하고 있다. 또한 당(唐)은 신라의 여러 왕들을 '낙랑군왕(樂浪郡王)' 으로 호칭하였는데『신당서(新唐書)』, 『구당서(舊唐書)』 모두 이를 한대(漢代)의 낙랑군(樂 浪郡) 땅이라고 명확히 기록하고 있다. 즉 낙랑군의 위치가 통일 신라의 국경선과도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발해(渤海) 건국 이후에는 통일 신라와 발해가 서로 국경을 접하게 되는데 이는 신라로 가는 ‘신라도(新羅道)’로 불리는 남경 남해부로 위치로 ‘해주(海州)’라고 기록되었는데 이는 난하(灤河)의 동쪽 지역에 있었다. 여러 문헌 사료와 고지도들을통해 통일 신라의 강역을 연구한 결과 전성기의 통일 신라와 당(唐)과의 서쪽 경계는 하북성의 난하(灤河) 까지 영역을 차지였으며 발해의 영토 확장과요(遼)가 건국한 이후에 점차 강역이 동쪽으로 축소되어 고려 시기에는 현재의 요하(遼河) 일대로 이동하였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heory, the territory of Silla began in Gyeongju, Gyeongsang Province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and reached unified Silla, it is recognized the territory did not cross Pyongyang at all. This is based on the claim that the location of Andong Dohobu(安東都護府) established by Tang on the border of Silla is Pyongyang. It is said that all of them are present-day Pyongyang. This is based on the 'Hansagunjaepyongyang theory(漢 四郡在平壤設)' that both Pyongyang of Gojoseon and Nakrang-gun (樂浪 郡) established by Han(漢), which is being criticized in the academic world, are North Korea's Pyongyang.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he territory related to this is connected not only to Gojoseon and Goguryeo, but also to the territory of Unified Silla. However, looking at various historical sources in China, it is recorded that Andong Dohobu,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Tang Dynasty, and Pyongyang of Goguryeo are not presently Pyongyang in North Korea, but are recorded as 'Pyeongju Noryong-hyeon(平州 盧龍縣)' in Hebei Province, which is located in the Beijing area. It also matches the historical records. In addition, Tang called various kings of Silla 'Nakranggunwang (樂 浪郡王)'. Nakrang-gun(樂浪郡) is clearly recorded as Han(漢)'s land.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location of Nakrang-gun is deeply related to the border of unified Silla. And after the founding of Balhae(渤海), unified Silla and Balhae border each other, and it is recorded as 'Haeju(海州)' as it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Namgyung(南京南海府), called 'Sillado(新羅道)' to Silla, and it is recorded as 'Haeju'. It was in the eastern part of the Nanha(灤河). As a result of studying the territory of Unified Silla through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and old maps, the western boundary between Unified Silla and Tang in its heyday occupied the territory up to the Nanha(灤河) in Hebei Province, and the territorial expansion of Balhae and the Yo(遼) After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he river area gradually shrunk to the east, and during the Goryeo(高麗) period, it moved to the current Yoha(遼河) area.
Ⅰ. 서론
Ⅱ. 사학계 통설의 신라 강역에 대한 문제점
Ⅲ. 당과 신라의 서쪽 경계, 낙랑군왕 호칭과 안동도호부의 위치
Ⅳ. 신라의 경계에 대한 지명, 위치의 기록
Ⅴ. 발해의 수도 이전을 통한 신라와의 국경선 위치
Ⅵ.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