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왕정국과 서군유, 전제명을 중심으로 소동파의 詩와 詞, 簡札을 통해 소동파의 붕우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들은 소동파가 곤경에 처했을 때 節義를 지키며 교유한 知己들로 당대의 유교적인 관습 속에서 형성된 교유관계를 유지하였다. 刎頸之交나 金蘭之交, 布衣之交와 같은 전통적인 붕우관계를 보통의 사람들이 지켜가기란 어려운 일이지만 소동파와 그의 붕우들은 역경 속에서도 서로를 격려하고 위로하면서 이러한 우정을 이어나갔다. 文字獄을 함께한 왕정국과 귀양지 황주에서 호의를 베푼 서군유, 그리고 소동파가 최후의 삶을 의탁한 전제명이 그들이다. 한편 소동파는 ‘나의 벗은 옥황상제에서 걸인까지’라고 호언했는데, 이는 그의 깊은 학문과 문학적 재능, 해학과 유불도의 자유로운 사고에서 우러나온 말임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소동파의 붕우관계를 詩와 詞, 簡札을 통해 조명하면서 소동파의 삶과 문학의 一端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aper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ry, the words of a song and epistles through the Wangjeongguk, Seogunyu, and Jeonjemyeong. They maintained the friendship formed in the Confucian customs of the time by keeping the righteousness when the Sudongpo was in trouble.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people to keep traditional friends of relationships, but the Sudongpo and his friends continued this friendship by encouraging and comforting each other in adversity. It is said that Wangjeongguk showed friendship between the 刎頸之交, Seogunyu showed friendship between the 金蘭之交, and Jeonjemyeong showed friendship between the 布衣之交. On the other hand, the Sudongpo exclaimed, “From Emperor to beggars,” suggesting that it was derived from his deep learning and literary talents, his humor and free thinking of the 儒佛道.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iends and the relationship was illuminated through the poetry, the words of a song and epistles presented of the literature of the part.
Ⅰ. 머리말
Ⅱ. 蘇東坡의 朋友
Ⅲ. 소동파의 붕우관계
Ⅳ. 맺음말
參考文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