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어의 '내쉬다’, '들이마시다’와 중국어의 '呼’,'吸’, 두 쌍의 어휘의 은유표현이 한국어와 중국어 각 언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呼’가 만들어내는 은유적 표현은 ‘소리를 내다’, ‘전화를 받다’ ,‘안심하다’와 ‘어쩔 수 없다’ 네 가지다. 다음으로 '내쉬다'는 아래로 내려가는 방향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안심하다’, ‘어쩔 수 없다’, ‘우울하다’라는 세 개의 감정 표현 영역에 사상(mapping)했다. '吸’가 만들어내는 은유적 표현은 ‘흡인하다’와 ‘치유하다’ 등의 두 가지 있다. ‘들이마시다’에서 생겨난 은유표현은 ‘먹다’, ‘생물, 자연현상’, ‘스스로 느끼는 것(自身感受)’, 그리고 ‘돈을 쓰다’ 등의 네 가지가 있으며, 모두 어떤 물질을 신체(공간) 내부로 끌어들이는 유사성에 기반한다. 두 쌍의 어휘는 모두 같은 근원 영역을 가지지만, 생성된 목표 영역이 다른 부분은 있다. 그 이유는 두 언어의 세계에 대한 인식이 초기 인지부터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taphorical representations of Korean '내쉬다', '들이마시다' and Chinese '呼', '吸' between the two languages is the subject of this paper. '呼' was mapped to the four target domains of 'making a sound', 'picking up the phone', 'reassurance' and 'helplessness'. '내쉬다' was mapped to the three emotional expression domains of 'reassurance', 'helplessness' and 'sadness' based on the similarity in direction downwards. Th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吸' are 'attracting' and 'curing'. '들이마시다' produces four metaphorical expressions of 'eating', 'biology, natural phenomena', 'feelings of oneself' and 'spending money', which are all based on the similarity of introducing something into the body (into space). Two pairs words have the same source domain, mapping the target domain gives birth to different parts. Because the understanding of the world between the two languages has already produced differences from the initial cognition.
목차
Ⅰ. 緖論
Ⅱ. “呼”和“내쉬다”的隐喻对比
Ⅲ. “吸”和“들이마시다”的隐喻对比
Ⅳ. 結論
參考文獻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22)
- 中國人文學會 會則 외
- 《聊斋志异》韩译本中山东方言词汇的翻译策略
- 중국 SF소설의 과학기술과 문학적 상상 연구
- 중국의 여해적 정일수(鄭一嫂)와 해상권력의 구축
- 汉韩语预期标记“果然”和“과연”的对应类型对比研究
- 文化自信语境下中国少数民族音乐资源的出版路径探讨
- 중국몽: 새로운 보편가치의 등장인가, 대안근대성의 함정인가?
- 論“V諸於”用法成因及相關問題
- “VP不过”句式的历时演变及认知分析
- 论迟子建《白雪乌鸦》中哈尔滨地理空间的构建
- 자평명리학의 육친론 고찰
- 오균요의 『금문』에 나타난 금문도의 의미화 방식
- 汉·韩语“呼、내쉬다”和“吸、들이마시다”的隐喻对比浅析
- 비판과 금지로 작동한 비평기제
- 국내 학계의 ‘화교·화인’ 관련 연구성과
- 中国大学生择偶取向对婚恋观的影响研究
- 『說苑』의 이야기 표현 방법 연구
-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의 構形體系에 관한 연구
- 『투쯔창 혼자만의 슬픔』에 나타난 중국 청년의 빈곤화 과정
- ‘春’, ‘秋’ 의미 분석을 통한 고대 계절 개념 고찰
- 중국어 작문교육의 연구와 현황
- 중국인문과학 제80집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