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중국인문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인식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말조사 ‘了’

Sentence-final Particle 'Le(了)' from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DOI : 10.35955/JCH.2022.08.81.141
  • 18

역사발전사적인 관점에서 보면 문말조사 ‘了’는 시간성을 지닌 동사 了(liǎo)에서 기원했지만 南宋중말엽 ‘了’ 자체의 허화와 ‘也’의 기능 흡수를 통해 화·청자의 인식에 관여하는 의외성 표지로 발전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현대중국어까지 전승되어 문말조사 ‘了’는 여전히 의외성 표지로 기능하고 있고 그 의미양상은 (1) 화·청자에게 새로운 정보, (2) 화·청자의 예상과 반대되는 일로 대별된다. ‘了’의 의외성은 두 가지 방면에서 구현되고 있다. 첫째, 부정명제와 양립 가능하다. 기존에는 문말조사 ‘了’를 시상 범주에 귀속시켰기 때문에 부정명제와 ‘了’ 사이의 양립 현상에 대한 설명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본고에서처럼 인식 범주에 귀속시킨 문말조사 ‘了’는 긍정명제이든 부정명제이든 상관없이 모두 인식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담화 문맥상 문제가 없다면 제약 없이 결합할 수 있다. 둘째, 시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了는 의외성 표지로서 과거 및 미래 완료상에 해당하는 사건을 나타내는 명제뿐만 아니라 정태문과 함께 미완료상에 해당하는 진행사건을 나타내는 명제까지도 담화·화용상 필요하다면 공기가 가능하다.

From a grammatical perspective, the Sentence-final Particle '了' originated from the verb 'liao(了)', which has Temporality. However, It has been grammaticalized since the mid-late period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In addition, through the absorption of the function of 'ye(也)', it develops into a mirativity marker that is involved in the recognition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is function has been passed down to modern Chinese, and the Sentence-Final Particle 'liao' still functions as an mirativity marker, and its meaning is distinguished as (1) new information to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nd (2) contrary things to the speaker and listener's expectations. This mirativity of 'liao' is implemented in two ways as follows. First, it is compatible with the negative. Previously, the Sentence-Final Particle 'liao' was considered a particle in the tense-aspect category, so an explanation of the phenomenon of a negative and '了' co-occurring within a sentence was required. However, 'liao' in the epistemological category can be the subject of recognition, whether the proposition is positive or negative, so no problem occurs unless there is a problem in the context of discourse. Second, it is not constrained by a tense-aspect. ‘The 'mirality' of 'liao' allows for events that correspond to the ’past perfective aspect’ and the ‘future perfective aspect’, as well as events that correspond to the ’stative setense’ and even the progressive event corresponding to the ‘imperfective aspect’.

Ⅰ. 서론

Ⅱ. 의외성에 대한 기존 정의

Ⅲ. ‘了’의 의외성 표지로의 발전과정

Ⅳ. 공시평면에 나타나는 ‘了’의 의외성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