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중국인문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韩汉语副词“하필”和“偏偏”的预期、概率与管控对比

A Comparison Study of Expectation, Probability and Management of Korean and Chinese Adverbs “Hapil” and “Pianpian”

DOI : 10.35955/JCH.2022.12.82.59
  • 7

한국어 '하필'과 중국어 '偏偏'은 비교적 전형적 반예기(反预期) 표지이다. 양자는 비록 한자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어휘 표현이 아니지만, 양자의 의미 대응 정도가 높다. 본고는 주로 사건이 발생할 확률, 예기, 통제적 특징 방면에서 부사 '하필'과 '偏偏'의 예기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낸다. 첫째, 의미배경 및 의미핵심 면에서 이 두 개 표현들은 모두 비교적 고정된 의미배경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 '하필'의 의미핵심은 주로 [+주체 의문][+초점 부각]이고, '偏偏'의 의미핵심은 주로 '사건이 의도(意图)/무의도(无意图) 하게 예기를 벗어난다'고 한다. 둘째, 예기성 및 확률 특징 면에서는 관련 표현들의 반예기 의미 전형성이 강할수록 그 실현 확률이 높아지지만 '하필'과 '偏偏' 자신의 예기 실현의 직접성 또는 간접성도 확률 실현의 크기에 영향을 준다. 셋째, 통제 특징 면에서는 한국어 관련 표현의 통제 특성은 주로 문장의 잠재적 시사(施事)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문장의 현저적(显性的) 발화 주체는 일반적으로 통제되지 않는 수동적 상태가 나타난다.

The Korean “Hapil” and the Chinese “Pianpian” are typical markers that express counter-expectation semantics. Although they are not the more common vocabularies directly corresponding to Chinese characters, they have a high degree of semantic matchi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pec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Chinese adverbs “Hapil” and “Pianpian” in terms of related probability, expectation, and management, the preliminary conclusions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emantic background and core, both Korean and Chinese have a relatively fixed semantic background, in which the semantic core of “Hapil” is mainly [+ subject question] [+ focus highlighting], and the semantic core of “Pianpian” is mainly “event deviates from expectations intentionally/unintentionally”; second, in terms of expectation and probabilistic characteristics, the stronger the counter-expectation semantic typicality of the relevant expression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realization, but the direct or indirect realization of the expectation realization of “Hapil” and “Pianpian” itself also affects the probability of realization; third, in terms of management characteristics,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related expressions in Korean and Chinese mainly focus on the implicit agent of the sentence, and the explicit speaker of the sentence generally shows a passive state of non-control.

Ⅰ. 引言

Ⅱ. 前人研究

Ⅲ. 理论背景

Ⅳ. 韩国语“하필”与汉语“偏偏”的语义背景及语义核心

Ⅴ. 韩国语“하필”与汉语“偏偏”的预期性及概率特征

Ⅵ. 韩国语“하필”与汉语“偏偏”的管控特征

Ⅶ. 结语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