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경찰에 대해 경찰의 업무수행에 관해 더 넓은 범위의 재량권을 부여하려는 의지를 ‘경찰 임파워먼트’라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도구적 요인에 포함되는 경찰효과성 인식과 처벌확실성 인식, 표현적 요인에 포함되는 경찰신뢰와 준수의무감이 경찰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탐색적 맥락에서 순찰목격 경험 유무에 따라 각 예측변수들과 경찰 임파워먼트의 관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다집단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순찰 목격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는 경찰신뢰와 준수의무감이 증가할 때 경찰 임파워먼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순찰 목격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는 경찰신뢰가 증가할 때, 경찰 임파워먼트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찰 임파워먼트를 예측하는 강력한 변수로서 경찰신뢰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다집단 분석 결과 순찰 목격 경험 유무에 따라 준수의무감이 경찰 임파워먼트를 설명하는 경로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음을 제시했다. 또한 경찰효과성 인식과 경찰 임파워먼트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의 혼재된 결과에 관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찰효과성 인식이 경찰 임파워먼트를 설명하는 경로가 두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주제는 한국에서 잘 다뤄지지 않고 있는 경찰 임파워먼트와 다른 변수들의 관계를 일반화했다는 점과 탐색적 맥락에서 순찰 목격 경험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실시했다는 점을 토대로 국내 경찰학의 연구 분야를 넓혔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Therefore, in this study, citizens' willingness to give the police a wider range of discretion in the performance of police work was defined as the concept of 'police empowerm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we will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lice effectiveness and the certainty of punishment included in instrumental factors, and police trust and obligation to obey included in expressive factors on police empowerment. In addition, we tri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redictor and police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rol witness experience in the exploratory context through a multi-group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olice empowerment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hen police trust and compliance obligations increased in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patrol witness. On the other hand, police empowerment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hen police trust increased in groups with absence of patrol witness experie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police trust exists is a strong variable predicting police empowerment, and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suggests that obligation to obey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path of explaining police empowerme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rol witness experience. Also, regarding the mix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effectiveness and police empowermen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ath through which police effectiveness explains police empower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groups. Based on gener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e empowerment and other variables, which are not well handled in Korea, and conducting a multi-group analysis based on patrol sighting experience in an exploratory contex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field of research in Korean police scienc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