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재활복지 제27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청각장애인의 심리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by the Deaf

DOI : 10.16884/JRR.2023.27.1.1
  • 256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심리상담을 경험한 청각장애인이 심리상담을 통해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현상학적으로 탐구함으로써 그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각장애인 복지관에서 최소 10회기 이상의 심리상담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청각장애인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시행하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5단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각장애인들이 경험하는 심리상담의 본질적 의미는 ‘청각장애인은청각장애로 청인과 다름에서 오는 차이와 소수 사회 안에서의 갈등을 당연한 것으로 인식하고, 소통의 벽과 편견에 가로막혀 열리지 않는 마음을 상담자와 나, 그리고 삼각의 동맹을 맺는 사람들과 함께결정적 순간을 경험하며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받는다. 청각장애인의 심리상담은 상담자의 조언을 연습해볼 수 있는 장이며, 상담의 작은 변화를 통해 상담의 효과를 결정한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심리상담 현장에서의 구체적이고 생생한 경험 안에서의 공통점을 발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청각장애인 내담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experiences the deaf have through psychological counseling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o solve psychological problems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hose experience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deaf people who had received at least 10 psychological counseling sessions at a deaf welfare institution and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5-step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the essential meaning of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ienced by the deaf is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ceive the differences and conflicts they experience as a minority in society as natural. This suggests a new perspective on problems while experiencing the decisive moment between the counselor, oneself, and third-party assistants who form a triangular alliance with an open mind that is not held back by communication barriers and prejudices. Psychological counseling for the deaf is a place where they can practice, and through small changes in counseling, they decide between two options at the end of counseling. This study found commonalities in the concrete and actual experiences of deaf people through psychological counseling at a psychological counseling site for deaf, which lacks study dat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that can assist deaf clients with deaf psychological counseling.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