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사회에서 보편적 원리로서의 교육은 모두를 위한 교육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세계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현대 사회는 국가주의적 관점에서 획일화된 교육적 접근에서 나아가 직면한 주요 문제들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는 불평등 요소의 심화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적 책무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포용성을 적용한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연결할 수 있는 지점을 찾아, 실천 방향을 탐색하고자 진행된다.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교육과정에서의 포용성이 갖는 의미와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미술과에서의 포용성의 의미를 살펴보고. 특성과 한계점을 도출한다. 이를 토대로 미술과에서의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반영한 포용성이 지닌 의미를 재조명하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미술 수업에서 적용될 수 있는 포용성의 실천적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더 나은 삶을 위한 방안으로 교육의 역할이 강조되는 현재 시점에서 모두를 위한 미술교육의 의미가 실천되기를 기대한다.
Education as a universal principl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has the meaning of education for everyone. Today's society, with its accelerating globalization, has a strong educational responsibility to solve the deepening of inequality caused by major problems facing a uniform educational approach from a nationalist perspective. I'm looking for it.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applying inclusiveness in art education, to find a point that can connect this with art in the curriculum, and to explore the practical direction. Please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inclusiveness in the curriculum of a country different from Japan and the meaning of the inclusiveness in the art department through art and curriculum analysis. Derive characteristics and limits. Based on this, we will re-illuminate the meaning of inclusiveness that reflects the flow of changes over time in the art department, and by presenting the direction, we will try to find a practical direction of inclusiveness that can be applied in art classes. I hope that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for everyone will be put into practice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role of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plan for a better life.
Ⅰ. 서론
Ⅱ.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포용성의 이해
Ⅲ. 미술과 교육과정과 포용성
Ⅳ. 미술교육에서 포용성의 실천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