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수사관의 외상후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 of Crime Scene Investigators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19 No.3
- : KCI등재
- 2023.03
- 137 - 155 (19 pages)
본 연구는 경찰 과학수사관이 범죄 현장 감식 작업 후 경험하는 외상성 반응의 특성과 개인적 차원의대처를 위한 노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과학수사관이 원하는 조직 차원의 지원 방안을 질적 연구를 통해 파악하여 차별화된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 과학수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경찰 및 검시조사관 9명을 대상으로 2022년 7월에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현장에서의 면접 내용이 충분하지 않거나 정보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화 통화를 통해 추가적으로정보를 수집하여 보완하는 작업을 거쳤다. 그 결과, 고통스러운 사건 현장, 흔들리는 일상, 나를 더힘들게 하는 조직, 대처하기 위한 개인적 노력들, 힘이 되어주는 동료와 선배들, (심리)지원제도와 관련하여 떠오르는 것들이라는 6개의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수사관의 심리적고통에 대한 지원책인 심리지원제도를 개입 단계별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ttraumatic stress response characteristics experienced by crime scene investigators after conducting crime scene identification work, and their personal coping efforts.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identify organizational support measures desired by crime scene investigator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provide differentiated support. A focused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in July 2022 with nine crime scene investigators, and additional information was supplemented through phone interviews when necessary. Six main themes emerged: painful scenes, unstable daily routines, challenging organizational aspects, personal coping efforts, supportive colleagues and seniors,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s. Based on the findings,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for the psychological pain of crime scene investigators was discussed, divided into stages of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