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제36권 제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추출용매에 따른 쇠미역과 다시마의 항산화, 항노화 활성과 페놀화합물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nt, Anti Aging and Phenolic Compounds of Different Solvent Extracts from Saccharina japonica and Costaria costata

DOI : 10.7732/kjpr.2023.36.2.107
  • 55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에 완도산 다시마와 쇠미역의 항산화, 항노화 활성을 살펴보고 페놀화합물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다시마와 쇠미역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다시마 메탄올추출물(4.64 ㎎TAN/g), 쇠미역 메탄올추출물(4.19 ㎎QUE/g)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다시마와 쇠미역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쇠미역 주정추출물에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IC50 = 42.5 ㎍/μL)을 나타냈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활성 측정 결과 다시마와 쇠미역모두 열수보다 주정과 메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쇠미역이 다시마보다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과FRAP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다시마와 쇠미역 추출물의 SOD, CAT, APX 활성은 열수, 주정 추출물보다 메탄올 추출물에서, 그리고 쇠미역보다 다시마에서 높은 SOD, CAT, APX 활성이 확인되어 다시마 메탄올 추출물에서 뛰어난 항산화 효소 활성을보였다. 그 다음으로 Collagenase, elastase 저해 활성은 쇠미역 메탄올 추출물과 다시마 주정추출물에서 각각 88.3, 19.0% 의 우수한 collagenase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보였다.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다시마와 쇠미역 모두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41.8, 30.3%로 나타나 다른 추출용매에 비해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이 측정되었으며, 주로 쇠미역보다 다시마에서 우수한 tyrosinase저해활성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추출용매에 따른 다시마와 쇠미역추출물의 페놀화합물 함량(4-hydroxybenzoic acid, naringenin, naringin, nicotinic acid) 분석 결과 4-hydroxybenzoic acid 함량은 다시마 메탄올 추출물(8.25 ㎍/g), naringenin과 naringin 함량은 각각 쇠미역 주정추출물(0.58 ㎍/g), 다시마 주정추출물(661.66 ㎍/g), 마지막으로 nicotinic acid 함량은 쇠미역 주정추출물에서 18.06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 측정되었다. 본실험 결과 다시마와 쇠미역은 메탄올과 주정 추출물에서 열수추출물에 비해 높은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과naringenin, naringin, nicotinic acid 함량이 나타났으며, 다시마와 쇠미역에 포함된 다양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물질이다시마와 쇠미역의 항산화활성에 관여한 것으로 확인되어 다시마와 쇠미역 주정 및 메탄올 추출물의 추출조건을 확립할 수 있었고, 이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과 화장품 소재개발에 대한 가능성이 증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y, anti-aging activity and phenol component contents of Saccharina japonica (SJ), Costaria costata (CC) extracts with hot water, 95% methanol, 95% prethanol for investigating possible utilization of SJ and CC extract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 SJ and CC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4.63 mg TAN/g, and 4.19 mg QUE/g respectively. Also, the SJ and CC methanol extracts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pr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whereas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prethanol extracts (IC50 = 15.4, 10.3 ㎍/μL). In anti-aging activity for evaluating the anti-wrinkle activity and skin whitening activity, the CC methanol extracts had high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88.3%), and the SJ prethanol extracts showed higher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19.0%) compared to other extracts. Then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J and CC methanol extracts (41.8, 30.3%, respectively), whereas prethanol extracts were the lowest. To identify the phenol component contents of SJ and CC extracts, 4-hydroxy-benzoic acid, naringenin, naringin and nicotinic acid were measured using LC-MS/MS. As a result, the phenol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SJ methanol extract (4-hydroxybenzoic acid), SJ and CC prethanol extract (naringin and naringenin) and CC prethanol extract (nicotinic acid). Lastl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J and CC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R = -0.946~0.883).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thanol or methanol extracts of SJ and CC h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anti-aging activity and the potential to be used as material for health functional food and cosmetics.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