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박나무 묘목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시비농도에 따른 간장, 근원경, 묘목품질지수, 광합성 반응 측정으로 생장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적정 용기묘 생산에 적합한 시비량을 확인하였다. 광합성 특성은 대조구에 비해 시비처리구에서 순광합성속도(A), 순간증산효율(ITE), 내재적 수분이용효율(WUEi), 최대카르복실화속도(Vcmax) 등 높았다. 특히, 시비 농도는 활발한 가스교환을 통해 비교적 높은 A, Vcmax 보였던1000 ㎎/L 과 기공개폐 기작의 조절로 광합성 반응기작을 향상시킨500 ㎎ /L가 적정 수준의 시비로 실험 결과를 보였다. 생장량 또한 대조구보다 시비처리구에서 묘목의 품질지수등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00 ㎎/L은 근원경, 간장이 처리구 중 가장 큰 특징을 보였으며, 잎, 줄기, 전체건중량, 역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았고, 묘목의품질을 나타내는 H/D율 및 T/R율도 건전한 수준인 것을 볼 수있었다. 500 ㎎/L 역시 양호한 생육 특성을 보여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한 가지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2000 ㎎/L의 경우, 근원경의 감소로 H/D율은 높아졌고, 지상부에 비해 지하부로의 물질분배가 저조하여 T/R율 역시 증가하는 형태적 특성과 비용 저감을 위한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2000 ㎎/L 의 시비농도는 과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후박나무 용기묘의시비는 500 ㎎/L 혹은 1000 ㎎/L이 경제적으로나 식물의 형태적으로 가장 이상적인 시비량이라고 판단된다.
In the current study, four groups; control, 500, 1000, and 2000 ㎎/L, were trea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n Machilus thunbergii under various fertilization levels. As a result of the physiological response to the fertilization treatment, the fertilized group demonstrated relatively higher levels of A, ITE, WUEi, Vcamx, PIabs, and SFIab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The best photosynthetic mechanism was most clearly seen at 1000 ㎎/L, which involved gas exchange through active stomatal opening and closing. For a productive photosynthetic mechanism. As seen in the growth response of M. thunbergii to fertilization treatment, the fertilized group has significantly higher height, DRC, leaf dry weight, stem dry weight, total dry weight, LWR, and SWR than the control group. A healthy seedling quality index was particularly evident at 1000 ㎎/L, and other growth indicators were also at a decent level. 500 ㎎ /L also demonstrated growth characteristics that were comparable to those at 1000 ㎎/L. As a result, M. thunbergii featured the best physi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the fertilization treatment at 1000 ㎎/L, and 500 ㎎/L also showed a similar trend, which is considered to be a good option from an economical perspective.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