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예술단체의 지정을 통한 지적박물관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지적박물관으로 한정하고, 연구범위로서 시간적으로는 문화예술진흥법이 제정된 1972년부터 현재까지로 하고, 공간적으로는 우리나라로 한정하며, 내용적으로는 전문예술단체의 지정을 통한 지적박물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 그리고 면접법을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기술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지적박물관이 전문예술단체로 지정받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신청유형을 전문예술단체로 하고 둘째, 법적유형은 임의단체로 하며 셋째, 활동유형은 전시분야로 하고 넷째, 신청지역은 지적박물관이 속한 충청북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충청북도는 지금까지 박물관을 전문예술단체로 지정한 선례가 없다. 따라서 지적박물관은 한국박물관협회 등을 통해 각 시·도에 지정된 선례를 홍보하고, 신청서 서식에도 박물관이 표기되도록 요구하며, 충청북도 문화예술위원회에 박물관 운영자가 위원으로 위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요구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uture directions of the development of the cadastre museum through designation of professional art organiz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efficiently, the study subject was limited to the cadastre museum, and the scope for the study was ranged to the present from 1972 when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was enacted. In terms of the space, it was limited to Korea and, as for the contents, it was limited to seeking future directions of the development of the cadastre museum through the designation of professional art organization. For the survey method, it combined literature review, internet survey and interview method, and for analysis method, a descrip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nd as a measure for the cadastre museum to be designated as a professional art organization, it turned out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for the cadastre museum to be designated as professional art organization to apply. Second, it should be a NGO type in legal term. Third, its activity should be mainly with the exhibition. Fourth, the target area for application should be in Chungcheongbuk-do where the cadastre museum belongs. However, Chungcheongbuk-do has never designated a museum as a professional art organization. Therefore, the cadastre museum should promote or publicize a precedent designated in each city and province through the Korean Museum Association, etc, request that the museum be specified on the application form, and continuously request the Chungcheongbuk-do Culture and Arts Committee to appoint museum operator as a member of the committee.
1. 서 론
2. 전문예술단체 지정의 일반적 고찰
3. 지적박물관의 운영 실태 분석
4. 지적박물관의 전문예술단체 지정 방안
5.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