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는 기술들의 연결, 분석,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 국내 토양환경정보시스템은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토양특성에 맞는 작물 재배적지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도로, 건축물 등과 같이 작물을 심을 수 없는 지역도 적지로 선정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현실성 있는 사과 재배적지 추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지목과 토지적성정보를 활용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AHP 기법을 통하여 지목별 가중치를 선정하고 이를 GIS와 접목하여 지목이 반영된 사과 재배적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에서 저위생산지와 최적지가 각 5%, 13% 많게 나타났고 가능지와 적지가 각 21%, 1% 적게 나타났다. 이를 실제 현황과 검토하여 지목을 적용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현실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에 사용된 평가 자료의 일관성 비율이 0.2 이하 수준으로 나타나 다소 아쉬움이 있으며, 향후 도시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연구를 통해 전 국토 범위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patial information is considered an element that enables the connection and analysis of technologies in various fields. Regarding an agricultural field, the Korean soil information system provides a function that recommends suitable areas for producing cultivation using spatial information. However,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selects areas where apples cannot be planted such as roads, buildings, and so on. Therefore, to resolve this gap and to make the area selection for apples more reliable,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that uses land category as a factor. Weights for each category were calculated through AHP, and by combining this with GIS, an analysis that land categories reflected was deriv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the proposed method, low-level production sites and ideal sites were 5% and 13%, and possible sites and suitable sites were 21% and 1% less. By investigating the result with an actual land, it was clear that the suggested method was more realistic than the existing method. Nevertheless,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consistency ratio of the weight was less than 0.2. A future study is expected to extend this method nationall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1. 서 론
2. 관련 이론 고찰
3. 실험 및 분석
4. 실험 결과 분석
5. 결 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