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세상이 우리 사회에 다양한 긍정ㆍ부정 요인을 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그에 따른 디지털 불평등은 다양한 사회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역량이 디지털 활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국민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일반 국민 7,000명의 설문 데이터를 확보하여 SPSS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자상거래 이용수준과 디지털 이용태도는 디지털 경제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디지털 사회적 자본은 디지털 경제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전자상거래 이용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이용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전자상거래 이용수준, 디지털 사회적 자본, 디지털 이용태도가 디지털 이용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성별, 연령, 가구 소득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연구의 신뢰도를 높였다는데 차별성이 존재하지만 디지털에 익숙한 코로나 유행 시기에 얻은 데이터를 활용했다는 연구의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대면이 활성화되는 시기에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가구 수, 교육 수준 등)를 고려하여 추가 연구를 시행해야 할 것이다.
It is true that the digital world is affecting our society with various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nd the resulting digital inequality can lead to various social problems. In this regard, this study obtained survey data from 7,000 general citizens and conducted research using SPSS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digital capabilities on digital utilization performance and to devise measures to strengthen the digital capabilities of the peop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analyzed that e-commerce use level and digital use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economic activity, while digital social capita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economic activity. Second, it was analyzed that e-commerce use level, digital social capital, and digital use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it was analyzed that e-commerce use level, digital social capital, and digital use attitud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use performance.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increased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by setting gender, age, and household income as control variables. Therefor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household, education level, etc.) based on the data obtained during the period when face-to-face is active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가설검정 및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