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5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디지털 무역마케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Digital Trade Marketing

DOI : 10.15798/kaici.2023.25.1.23
  • 134

무역환경 변화는 무역거래자에게 새로운 무역 거래형태의 적응을 요구한다.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I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무역은 객체의 확장과 e-MP를 활용한 무역 거래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정보(Data) 자체를 디지털상품으로 생산하거나 거래할 수 있다. 따라서 무역거래자는 디지털 무역 정보를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플랫폼을 활용한 무역 거래 증가는 디지털 무역마케팅의 정보 관리 중요성을 시사한다. 무역거래자는 무역마케팅 활동 과정에 발생하는 정보를 식별하고 수집·분석·전환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무역 정보의 전환은 전자화, 디지털화를 실현하며 무역거래자의 목표달성을 위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디지털 전환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이에 디지털 무역마케팅 활용을 위한 정보 관리 및 표준화된 체계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 무역거래자의 디지털 무역마케팅 활성화를 위해 정보전환 체계를 구축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require traders to adapt to new forms of trade.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de using IT technology focuses on the expansion of objects and trades using the online marketplace, and data itself can be produced or traded as digital goods. Therefore, traders must be able to manage digital trade data.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rades using platforms such as the On-line Marketplace suggests the importance of data management in digital trade marketing. Traders can systematically manage data generated in the course of trade marketing activities by identifying, collecting, analyzing, and converting it. Transformation of trade data realizes digitization and digitalization, and influences traders' decision-making to achieve their goals. In addition, new added value can be created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ata management and standardized systems for the utilization of digital trade marketing.

Ⅰ. 서론

Ⅱ. 디지털 무역마케팅 선행연구

Ⅲ. 디지털 무역마케팅을 위한 정보전환

Ⅳ. 디지털 무역마케팅 활용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