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이 확산됨과 동시에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무역환경을 전제로, NFT를 이용한 거래가치 및 그 지속성에 대한 이용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현실적으로 NFT의 가능성이 존재함과 동시에 위험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활성화 요인과 우려요인을 양립하여 모델을 제안하였고, 세부적으로는 NFT의 거래안전성과 희소성을 활성화 요인으로, 법체계 불명확성을 우려 요인으로 설정하여 이론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데이터의 수집과 함께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NFT의 희소성이 거래가치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유의성이 발견되었으나, 거래안전성이 거래가치에 미치는 경로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또한, 법제도불명확성의 조절효과는 한계적으로 발견되었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디지털 무역환경에서 NFT 기반의 선하증권, 원산지증명서, 무역계약 등의 분야의 접목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이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users' perceptions of transaction value and its continuity using NFT on the premise of a blockchain-based digital trade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preads. In reality,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of NFT and risk factors, the model was proposed by combining activation factors and concerns, and in detail, the theoretical model was proposed by setting NFT transaction safety and scarcity as activation factors and legal system uncertainty as concerns.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along with data collection, significance was found in the path of NFT scarcity on transaction value, but no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in the path of transaction safety on transaction valu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uncertainty in the legal system was found to be limit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that it is desirable to find integration in fields such as NFT-based bills of lading, certificates of origin, and trade contracts in a digital trade environ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