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족중심주의와 적개심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Ethnocentrism and Hostility on Korean Exports: Focusing on Moderating Variables in Korean Foreign Policy
한국과 중국간의 대외정책적 논란이 지속됨으로써 중국이 한국을 대상으로 취하는 경제보복이 단계적으로 실행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정부와 소비자의 한국에 대한 적개심이 높아가며, 자민족중심주의 경향이 강화되어 한국의 대중국 수출 적자 이유라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 제품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 형성의 원인이 되는 자민족중심주의와 적개심이 한국 수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한국 대외정책을 개입시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의 대외정책을 조절변수로 하여 한국 수출증대여부에 대해 두가지 가능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중국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가 한국수출 제품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출이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나며, 아울러 중국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한국의 대외정책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대외정책을 조절변수로 하여 분석하면, 중국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에 따라 한국 수출제품구매 의도가 없어 한국수출이 줄어드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중국소비자의 한국에 대한 적개심이 수출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정(+)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중국소비자가 한국에 대한 적개심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한국 제품수출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중국소비자의 적개심 성향이 한국의 대외정책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며, 또한 한국의 대외정책을 조절변수로 하여 분석하면, 중국소비자의 적개심에 따라 한국 수출제품구매 의도가 없어, 한국수출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As the foreign policy disputes between Korea and China continued, China's economic retaliation against South Korea could be said to have been carried out step by step. Therefore, the hostility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consumers to Korea is increasing, and the tendency of ethnocentrism is strengthened, which can be explained as the reason for Korea's export deficit to Chin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ethnocentrism and hostility, which is the cause of Chinese consumers' negativ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Korean products, affects Korean export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Korean foreign polic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wo possible research models on whether Korea's exports will increase by using Korea's foreign policy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consumers' ethnocentrism influences the purchase of products exported to Korea, resulting in a decrease in exports. Additionally, Chinese consumers' ethnocentrism is influenced by Korea's foreign policy. can do. When analyzing Korea's foreign policy as a moderating variable, it is shown that exports to Korea tend to decrease as there is no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export products according to the ethnocentrism of Chinese consumers. Second, the effect of Chinese consumers' hostility toward Korea on the export effect shows a positive (+) effect, meaning that even if Chinese consumers have hostility toward Korea, they are not affected by Korean product exports.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hostility of Chinese consumers is influenced by Korea's foreign policy, and when analyzed using Korea's foreign policy as a moderating variable, there is no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export products according to Chinese consumers' hostility, so Korean export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ecreasing phenomenon.
Ⅰ. 서 론
Ⅱ. 이론적 연구 및 가설수립
Ⅲ. 연구설계, 연구모형, 연구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