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EP 발효에 따른 대 호주 및 뉴질랜드 시장에서 한·중 및 한·일 수출경합도 분석
An analysis on Export Similarity Index between Korea-China and Korea-Japan in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market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RCEP
본 연구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다자간 무역협정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발효 이후 한국의 주요 20대 수출 상품(HS 4단위)의 대 호주 및 뉴질랜드 시장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중국과 일본의 수출경합도(Export Similarity Index)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호주와 뉴질랜드 시장에서 미용이나 메이크업용 제품류와 기초화장용 제품류(3304)는 중국과 일본산 상품과 경쟁이 치열해진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한국은 호주 시장에서 일본산 자동차 부분품과 부속품(8708)에 대한 경쟁 관계가 있으며, 뉴질랜드 시장에서 전화기 등 그 밖의 기기(8517)는 일본산 상품과 경쟁이 치열해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은 경쟁상대국의 수출경합도가 상승하는 품목에 대해서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부가가치 전략, 원가절감 등의 방안을 강구하고 RCEP을 활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활용해야 한다.
RCEP is the world's largest free trade agreement, with a total of 15 countries participating, including 10 ASEAN countries, Korea, Japan, China, Australia and New Zealan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export similarity index of China and Japan, which are competing in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markets, for Korea's top 20 export produ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beauty or makeup products and basic makeup products(3304) compete with Chinese and Japanese products in the Australian and New Zealand markets. In addition, there is competition for Japanese auto parts and accessories(8708) in the Australian market, and in the New Zealand market, the telephone(8517) shows fierce competition with Japanese products. Therefore, Korea should devise high value-added strategi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and cost reduction measures for items that are experiencing increased export competition with rival countries, and use a business model that can utilize RCEP.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분석 및 RCEP의 일반현황
Ⅲ. 한·중·일 대 호주 및 뉴질랜드에 대한 수출경합도 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