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인사행정학회보 제22권 제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방직 공무원이 인식하는 인사공정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sonnel Fairness Perceived by Local Public Official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Basic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buk-do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인사공정성(분배・절차・상호작용 공정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정서적・지속적・규범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기초지방자치단체 공무원 40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사공정성은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절차공정성, 순으로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사공정성은 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순으로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사공정성은 상호작용 공정성만 지속적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 정책적 함의가 논의되었으며,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의 방향이 함께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personnel fairness (distribution, procedure, and interaction fairn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motional, continuous, and normative commitment) in basic local governments. To this en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409 public officials in the basic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buk-do we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First, personnel fair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distribution fairness, interaction fairness, and procedural fairness. Second, it was found that personnel fair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procedural fairness, distribution fairness, and interaction fairness. Third, in personnel fairness, only interaction fair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long with future study directions were also presented.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검토와 가설 설정

Ⅲ. 연구 모형과 연구 방법

Ⅳ. 실증 분석 결과

Ⅴ. 결론: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