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교과목에 대한 실행연구를 통해서 교육과정 운영상의 개선 방안을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지금까지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으나 실행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교수자이자 연구자로서 교수·학습 실행을 통해서 가지게 되는 성찰과 기록, 학습자들의 실습 경험을 성찰한 실습일지와 결과보고서, 실습 경험에 대한 질문지 답변, 결과 발표에 대한 질의·응답 내용, 실습 기관 교육담당자와의 심층 면담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교수·학습 실행을 통해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의 교육 담당자와 교수자는 실습생에 대한 면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사전 수요조사 등을 통해 실습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실습 시간의 확대 및 유연한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장실습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수자와 기관의 교육 담당자가 지속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들이 원하는 업무에 대한 일목요연한 제시를 위해서 현장의 변화를 반영한 매뉴얼을 배부하고 이를 공유 채널을 통해 사전에 공유하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다섯째, 실습기관의 다양화를 위해서 교육기관 차원에서는 실습 기관과의 협약 체결을 통해 안정적인 실습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고 정책적 차원에서 지원의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ay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rough an implementation study on the subject of <Understanding and Practice in Culture & Art Education Field>.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s educational personnel and instructors need a close understanding of the trainees, and for this purpose, prior demand surveys can be used. Second, the practice time should be expanded and flexible operation should be achieved.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field practice,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instructors and institution's educational personnel. Fourth, it is possible to propose a plan to distribute manuals reflecting changes in the field and share them in advance through shared channels. Fifth, in order to diversify training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at the leve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help ensure stable practice operation through the conclusion of agreements with training institutions and to expand the scale of support in policy.
Ⅰ. 서론
Ⅱ. 문화예술교육사 양성 교육과정과 현장 실습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