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UDL,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에 따라 초등학교 미술과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학습을 설계해 보고, 보편적 학습 설계가 미술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편적 학습 설계는 참여, 표상, 표현의 원리를 활용하여 모든 학습자의 다양성을 존중하면서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교수 자료와 활동을 제공한다. 2022 교육과정 비전인 포용성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은 보편적 학습 설계가 추구하는 학습전문가와 일치한다. 보편적 학습 설계를 미술 감상영역에 적용할 때 시사점으로는 수업 설계의 원리와 원칙이 제공되어 교사가 교육과정을 균형 있게 재구성하여 학생의 성장을 돕는 학습을 설계할 수 있다. 교사의 적극적인 참여는 교육과정 자율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하는 학급에서 학생의 다양성을 존중한 학습 설계는 학생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 학습 기회를 최대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개인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한 설계는 미술교육의 새로운 변화를 이끌 것이다. 그러나 실제 미술 수업에 적용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되고,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정착을 위해 국가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lications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for the art department by developing the elementary school art appreciation area according to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provide multiple means of engagement, representation, and action&expression to provide teaching materials and activities that enable learners to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while respecting the diversity of all learner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 leading person with the vision of inclusiveness and creativity coincides with the learning expert pursued by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hen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o the art education, the three principles and 9 guidelines are provided so that teachers can design learning that helps students grow by reorganizing the curriculum in a balanced way. In addition, a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at respects the diversity of students in a class with various members can lead to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provide maximum learning opportunities. In particular, classes that recognize individual diversity and are designed based on that will lead to new changes in art education. However, follow-up research applied to actual art classes is required, and national policy support i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Ⅰ. 서론
Ⅱ. 모든 학습자를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
Ⅲ. 보편적 학습 설계의 실제-미술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Ⅳ. 결론
참고문헌